수면시간이 줄면 우울증이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윤창호 교수팀(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과 윤지은 교수)이 2009년부터 2018년 까지 수면시간과 우울증의 관련성을 분석해 대한신경과학회지(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발표했다.

수면은 맥박과 호흡 등 생명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활동을 제외한 모든 신체활동이 휴면에 들어간 상태를 의미한다. 부족한 수면은 신체 및 정신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만성적 수면 부족은 심혈관질환, 대사질환, 뇌졸중, 치매, 우울증, 불안증 등 여러 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

이번 연구 분석 대상자는 2009년(2,836명)과 2018년(2,658명)에 무작위로 추출된 19세 이상 성인.  이들의 기상 및 취침시간, 총수면 시간, 주관적 잠 부족 경험, 수면의 질, 우울증을 조사했다.

2009년과 2018년의 평균 수면시간과 우울증 유병률을 비교한 결과, 우울증 유병률은 4.6%에서 8.4%로 증가했다. 평균 수면시간은 19분 감소했다. 

수면 부족을 인식하는 사람의 비율은 30.4%에서 44.3%로 증가했다. 수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수면잠복기는 평일 8분, 주말 7분 증가하는 등 평일, 주말 모두 수면 효율성이 떨어졌다. 피츠버그 수면 질 지수(PSQI, 5점 초과 시 잠재적인 수면 부족을 의미함)도 3.6에서 3.8로 증가했다.

연구에 따르면 2009년과 2018년 모두 7~8시간 수면시 우울증 유병률이 가장 낮았으며, 이에 비해 5시간 미만 수면시에는 3.08~3.74배 높았다. 9시간 이상 수면도 우울증 유병률이 1.32~2.53배 높게 나타났다.

윤 교수는 "부족한 수면시간과 낮은 수면의 질은 우울증 외에도 뇌졸중,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특히 5시간 미만, 또는 9시간 이상의 수면시간은 우울증 위험성을 높이므로 적정 수면시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