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치매코호트 데이터를 이용한 국내 최초의 개방형 DB 플랫폼과 인공지능(AI) 기반 치매 조기예측 시스템이 개발됐다. 

이번 성과는 국내 치매 연구를 데이터 중심의 정밀의학으로 도약시키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양대병원 신경과 김희진 교수[사진] 연구팀은 서울·경기·경북 지역 한국인 환자의 다기관 치매코호트 데이터를 통합, 1,400여 건의 다중모달 데이터를 포함한 개방형 플랫폼 ALEAD(Advanced Learning and Exploration of Alzheimer’s & Dementia)를 구축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연구자 간 데이터 공유와 협업을 촉진하고 글로벌 공동연구와의 정합성까지 고려해 설계됐다. 

연구팀은 또한 뇌영상·인지기능검사 등 다차원 데이터를 분석해 개인의 '뇌 나이'(brain age)와 치매 발병 위험도를 예측하는 AI 기반 조기예측 시스템도 함께 공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ALEAD는 기존 단일 지표 예측보다 높은 정확성을 제공하며, 조기 개입과 맞춤형 진료를 지원하는 임상 도구로 활용 가능성이 크다.

이번 연구에는 한양대병원을 비롯해 명지병원·칠곡경북대병원·경북대 등 국내 여러 기관이 참여했으며, 플랫폼 개발은 ㈜피플앤드테크놀러지가 담당했다. 

김희진 교수는 "국내 최초 한국인 치매코호트 자료를 기반으로 한 개방형 연구 플랫폼을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시켜 장차 치매 전주기와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 연구까지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았으며, 11월에 공식 공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