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암 발생 새 기전 발견, 동물실험 결과
대장암 발생 새 기전 발견, 동물실험 결과
  • 김준호 기자
  • 승인 2017.01.16 1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생리활성물질 PGE2와 유전자 YAP1 과잉 상호작용

[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대장암 발생의 새로운 기전이 발견됐다.

서울아산병원 소확내과 명승재 교수와 카이스트 생명과학대학 임대식 교수는 세포재생 기능을 가진 PGE2(Prostaglandin E2)와 유전자 YAP1( yes-associated protein 1)이 과하게 상호작용해 대장용종과 대장암세포가 발생한다는 연구결과를 Gastroenterology에 발표했다.

PGE2는 아스피린 투여시 줄어들어 대장암 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됐다. YAP1 역시 대장암 환자 3명 중 1명에서 발견된다는 통계연구 결과도 있어 양 물질은 대장암 발생과 관련하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발생 기전은 알 수 없었다.

교수팀이 PGE2와 YAP1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쥐의 유전자를 조작해 PGE2를 늘리자 YAP1이 약 1.5∼2.5배 증가했다. 대장 염증유발 약물을 쥐에 투여한 다음 항염증제로 PGE2 기능을 억제하자 YAP1 유전자 활동이 약 40% 줄어들었다.

반면 YAP1를 인위적으로 증가시킨 쥐의 대장에서는 PGE2가 정상 쥐보다 약 2.5배 증가했다. 그리고 유전자 조작으로 YAP1을 제거하자 PGE2를 생성하는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았다. 즉 2개 물질은 한쪽이 줄어들거나 증가하면 똑같은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두 물질의 상호작용이 대장암과 관련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쥐의 유전자를 조작해 상호작용을 과발현시킨 결과, 12∼16주 만에 대장 용종이, 24주 내에는 대장암세포가 발생했다.

하지만 YAP1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항염증제로 PGE2 활동을 차단해 상호작용을 억제하자 24주 이내에 암세포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제로 대장암수술환자 77명의 조직 분석 결과에서도 두 물질의 상호작용이 과발현된 것으로 확인됐다.

명승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세포 재생기능을 가진 PGE2와 YAP1의 상호작용이 과발현되면 대장암세포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힌 연구로서 효과적인 대장암 신약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