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2형 당뇨병치료제 SGLT2억제제는 심부전, 만성신장병으로 적응증을 넓히고 있지만 부작용으로 중단하는 경우도 상당하다.

일본 교토부립의대 내분비내과 연구팀은 SGLT2억제제 투여 중지율을 검토한 결과, 투여한지 2년 내에 약 8분의 1이 중단하며, 가장 큰 원인은 빈뇨라고 국제임상의회지(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발표했다.

SGLT2억제제는 심장과 신장을 보호하고 혈당을 낮춰주지만 성기감염증과 체액감소, 저혈당, 당뇨급성합병증 등 부작용으로 투여를 중단하기도 한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SGLT2억제제를 투여하기 시작한 당뇨병환자 766명. 남성이 약 58%, 나이는 64세(중앙치), 당뇨병앓은 기간은 11년, 비만지수(BMI)는 25.3, 당화혈색속(HbA1c)는 7.9였다.

약물은 다파글리플로진(상품명 포시가), 카나글리플로진(인보카나), 루세오글리플로진, 엠파글리플로진(자디앙), 이프라글리플로진(슈글렛), 토포글리플로진 등 6개. 

이들을 투여시작 후 2년간 추적한 결과, 97명(약 13%)이 중단했다. 중단 시기는 투여한지 3개월 미만이 22명(23%), 3개월 이상 12개월 미만이 43명(44%), 12개월 이상 24개월 미만이 32명(33%)이었다.

투여 중단의 가장 큰 원인은 빈뇨(19.6%)였다. 이어 성기감염증(11.3%), 혈당조절 개선(10.3%), 신장기능장애(8,2%), 요로감염증(7,2%) 순이었다. 당뇨 급성합병증으로 중단한 경우는 3명이었다.

SGLT2억제제로 혈당이 개선돼 투약을 중단한 10명을 제외하고 투여 지속군 669명과 중단군 87명을 비교했다.

그 결과, 당뇨병앓은 기간, 1형과 2형 비율, 혈당조절, 신장기능, 인슐린 사용유무, 주요 당뇨합병증(신경장애, 망막증, 신장병, 심혈관질환)은 양쪽 군에 차이가 없었다.

반면 나이는 지속군 보다 중지군에서 유의하게 많아(64세 대 68세), 고령일수록 SGLT2억제제 투여 중단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나이가 들면 과활동방광이나 전립선비대증 발생률도 높아지기 때문에 빈뇨 등 하부요로증상 발생 위험이 있다. 또한 고령자 야간 빈뇨는 낙상 위험도 높인다"면서 "SGLT2억제제 투여 시작할 때에는 빈뇨 예방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염분제한과 적절한 수분섭취, 생물학적반감기가 짧은 SGLT2억제제 선택이 유용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