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발생 후에는 사회경제적 문제로 우울증이 많다고 알려진 가운데 발병 첫해 위험이 가장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최혜림 임상강사,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 연구팀은 뇌졸중환자의 우울증 발생위험을 분석해 국제학술지 '환경연구와 공중보건'(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에 발표했다.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환자 20만 7천여명. 이들과 나이와 성 등 조건이 일치하는 대조군 29만 4천여명(대조군)과 우울증에 미치는 뇌졸중의 영향을 평가했다.

그 결과, 뇌졸중 환자의 발생 첫 해 우울증 위험이 5.02배 높았으며,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높아 최대 9.29배까지 상승했다. 

중증 장애가 남은 뇌졸중환자의 경우 65세 이전이 우울증 발생 위험이 약 2배 높았다(대조군 대비 5.39배 대 2.62배). 또한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높았다( 2.92배 대 3.78배).

이는 환자들이 받는 사회적 압박감과 더불어 뇌졸중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뇌졸중으로 인해 우울증과 관련하는 모노아민 감소와 흥분독성을 일으키는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타메이트의 증가 등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뇌손상으로 감정과 인지기능에 영향을 주는 뇌의 회색질 감소도 뇌졸중 환자에서 우울증 위험이 높은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우울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든 만큼 뇌졸중 치료단계서부터 정신건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