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자에게 비만수술을 하면 당뇨병 위험을 80%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만수술을 통한 체중감량 효과는 매우 높으며 비만관련 질환의 감소와 삶의 질(QOL)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의 검토대상은 지금은 별로 이용하지 않는 수직위성형술(vertical banded gastroplasty)이 대부분이었다.
게다가 수술 후 관리가 강화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 진료 실태가 반영됐다고 할 수 없었다.
영국 킹스컬리지 헬렌 부스(Helen Booth) 교수는 20~100세이고 비만지수(BMI) 30 이상인 사람을 대상으로 비만수술을 받은 2,167명(비만수술군)과 BMI, 성별, 나이, 수술년도, 당화혈색소(HbA1c)가 일치하는 비만수술 받지 않은 환자(대조군)로 나누었다.
비만수술군과 대조군의 84~87%는 여성이었으며 평균 44~45세, 평균 BMI는 양쪽군 모두 43이었다.
비만수술 방식은 복강경위밴딩술(1,053명), 위우회술(795명), 위소매절제술(317명), 불확실 2명이었다.
성별, 나이에 상관없이 위험 감소
최장 7년간 추적하는 동안 당뇨병으로 진단된 환자수는 비만수술군에서 38명(4.3%), 대조군에서 177명(16.2%)이었다.
1,000인·년 당 발생률은 대조군이 28.2인데 비해 비만수술군에서는 5.7로 모든 교란인자 조정 후 위험비(HR) 0.20이었다.
비만수술의 효과는 남녀, BMI, 나이에 관계없이 나타났다.
부스 교수는 "최대 7년간 추적하는 동안 2형 당뇨병의 신규 발병 위험은 비만수술로 80% 줄어들었다"면서 "비만수술은 고도비만자의 당뇨병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벨기에 세인트 피에르대학병원 자크 힘펜스(Jacques M Himpens) 교수는 관련논평에서 "2형 당뇨병의 예방 효과에 대해 내분비 전문의를 이해시키려면 더 많은 증거가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는 The Lancet Diabetes & Endocrinology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