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당뇨병 치료제가 속속 개발되는 등 치료약물이 크게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진단받지 않고 질환을 키우는 증례도 많이 존재한다.

이를 감안해 미국예방의료서비스대책위원회(USPSTF)가 2008년 혈당이상·당뇨병검사 권고를 발표한지 6년만에 그 초안을 발표했다.

2008년 권고에서는 '고혈압(135/80mmHg 초과)' 성인을 혈당이상 및 2형 당뇨병검사 대상에 포함시켰으나 이번에는 '공복혈당이상, 내당능이상, 당뇨병 위험인자를 가진 성인'으로 그 범위를 더 확대했다.

아울러 기존 위험인자에 나이(45세 이상), 과체중/비만, 가족력. 인종과 여성 특유의 위험도 포함시킬 예정이다.

고위험군 혈당치 검사는 중등도 이득

2008년 권고 발표 당시에는 고혈압이 아닌 성인에 혈당검사 효과의 득실을 파악하는 증거가 부족했다.

그러나 이후 내당능이상군에 대한 생활습관 개입이 당뇨병을 예방 및 지연시킨다는 여러 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생활습관 개입이 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USPSTF는 "당뇨병 위험이 높은 성인에는 혈당검사가 중등도의 효과를 가져온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치료제가 개발되는데도 불구하고 환자수는 계속 늘어나기 때문에 혈당검사는 중요하다. 2012년 미국에서는 공복혈당이상 또는 내당능장애를 가진 성인이 8천 600만명, 성인당뇨환자는 2,900만명으로 추정됐다.

미국질병관리센터(CDC) 추정에 따르면 진단받지 않은 당뇨병환자가 약 800만명(2012년)에 이른다. 과거 15년간 당뇨병 유병률은 5%(1995년)에서 9%(2012년)으로 높아졌다.

USPSTF에 따르면 혈당검사가 사망률과 심혈관계 질환 발병을 낮춘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부족하다. 하지만 당뇨병 고위험 성인을 대상으로 혈당검사를 하고, 공복혈당이상군과 내당능장애군에 대해 철저한 생활습관을 개입하면 당뇨병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는 중등도 증거는 이미 확보된 상태다.

여기에다 철저한 생활습관 개입은 당뇨병이나 심혈관으로 인한 사망, 전체 사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충분한 증거도 존재한다고 USPSTF는 강조했다.

조기발견·치료는 장기적으로는 도움

이번 개정안을 위해 USPSTF는 내당능장애군에 대한 생활습관 개입이 당뇨병 예방 및 발병 지연에 어떤 효과를 주는지 메타분석한 결과, 개입군의 당뇨병 진행 상대적 위험은 0.53이었다. 당뇨병 예방 및 발병 지연을 위한 생활습관 개입효과의 증거는 이제 충분해진 것이다.

약물요법의 경우 메트포르민, 사이아졸리딘계약물, 알파글루코시다제억제제를 2형 당뇨병 예방 및 발병 지연에 효과적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USPSTF에 따르면 혈당측정이 단기적으로는 환자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정신적인 해는 없다.

당뇨병 예방 목적의 약물요법의 부작용 역시약물 종류와 용량에 따라 다르겠지만 큰 해는 없다고 한다.

정상범위내 높은 수치면 검사 간격은 연 1회

이번 권고에서 제시된 '고위험 성인'에는 ①45세 이상 ②과체중~비만 ③부모나 형제 중에 당뇨병있는 경우 ④인종 ⑤임신당뇨병 기왕력 여성 ⑥다낭포성난소증후군 기왕력 여성-등 공복혈당이상, 내당능이상, 당뇨병 기존위험인자를 가진 환자가 포함됐다.

임상의사는 이들 위험인자를 추가한 기존 위험평가모델로 당대사이상 위험을 평가하고, 고위험 판정시 혈당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검사는 2회 실시가 바람직하며 한번이라도 이상을 보였다면 3~6개월 이내에 재검사해야 한다.

이후 검사 간격은 첫번째 검사에서 정상혈당으로 판정된 저위험군에는 3년 마다, 고위험군이나 검사 결과가 정상범위내에서 높은 수치인 군에는 1년 마다 실시가 적당하다.

이번 USPSTF의 초안에 대해 미국당뇨병학회(ADA)는 고혈압에만 한정하지 않고 여러 위험인자에 착안해 무증후군에 대한 검사를 권장했다는 점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미국에서는 미진단 당뇨병환자, 소위 '숨어있는 당뇨병환자'가 연간 180억달러의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는 만큼 이번 USPSTF 권고가 이러한 환자들을 발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