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AD) 발생 위험을 유전자 점수로 예측할 수 있게 됐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김희진·원홍희 교수, 연세대 생명시스템대학 서진수 교수 공동연구팀은 유전 변이 정보를 조합해 AD 발생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최적 다유전자 위험 점수(optimized polygenic risk score, optPRS)를 개발했다고 알츠하이머 및 치매 분야 국제학술지(Alzheimer’s & Dementia)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optPRS는 지난 2022년 JAMA Network Open에 발표한 기존 다유전자 위험 점수(PRS)에 기반해 개발됐다.
국내 AD환자 및 대조군 1,600여 명의 유전체·임상 데이터로 발병 예측 정확도를 검토한 결과, 기존 PRS보다 크게 높았으며, 질병 경과까지도 예측했다.
연구에 따르면 optPRS 점수가 높으면 AD 발생 위험이 2.4배,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 위험이 2.0배 높았다. 이는 APOE 유전자 변이와 무관한 결과다.
연구팀은 또 optPRS 점수별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로 만든 뇌 오가노이드로 분석을 통해 고위험군에서는 아밀로이드 및 타우 단백질이 많이 쌓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optPRS가 실제 뇌 병리 변화를 반영한다는 사실을 세포 수준으로 입증한 것이다.
원홍희 교수는 "optPRS는 한국인과 중국인 모두에서 성능이 검증됐으며, 약 30개의 유전 변이만으로도 고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다"며 "앞으로 조기진단과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희진 교수는 "유전적 고위험군을 일찍 발견해 예방적 관리와 임상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관련 기술은 국내에서 2건의 특허를 등록했으며, 현재 미국과 유럽에서는 등록 절차가 진행 중이다.
- 항암제 레트로졸 · 이리노테칸 알츠하이머 예방
- 도나네맙, 유럽서 초기 알츠하이머 치료에 권고
- 치매약 '레카네맙' 日 약가인하 추진 "비용효과 미흡"
- 치매는 예방관리 가능한 질환
- 버섯 속 항산화성분 치매예방 효과입증
- 치매 예방 비결 "커피 적당히, 홍차는 많이"
- RNA 조절이 수명연장 열쇠, 펠로타 단백질 기능 규명
- 대사증후군, 조기 치매 위험 최대 70% ↑
- 알츠하이머 새 치료 전략...핵심은 시냅스 복원
- "수면 중 치매 예방", 뇌 청소 실시간 관찰
- 한국인 알츠하이머 유전요인 발견, 정밀맞춤요법 성큼
- 알츠하이머병 적색OLED로 개선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