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조기 진단을 위한 새로운 단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잠을 자면서 발차기, 고함 등 강한 잠꼬대를 보이는 행동을 렘수면 행동장애(RBD)을 가진 파킨슨병 환자는 장내 미생물 변화 양상이 다른 것으로 나타나 장내 미생물 분석으로 파킨슨병의 조기 진단과 맞춤치료 전략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파킨슨병환자를 대상으로 RBD 유무에 따른 장내미생물 변화를 비교해 미생물 분야 국제학술지(Microbiome)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파킨슨병 환자 104명과 대조군 85명. 연구에 따르면 진단 전 RBD 경험 환자는 초기부터 장 점액층을 분해하고 염증을 유발하는 아커맨시아(ㅁkkermansia)와 에쉬리키아(escherichia) 등 유해균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벽 보호 유전자의 발현은 줄어들어 장내 염증 발생 가능성이 높아졌다.
반면 RBD가 없는 환자는 초기에는 건강한 장내 환경을 유지했으나, 진단 2년 후에는 유해균 증가가 나타나면서 RBD 환자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하루 권장량을 초과하는 34~36g의 식이섬유를 섭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장내세균 불균형이 명확gl 나타나 단순 식이 조절만으로는 장내 환경 회복이 어렵다는 점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파킨슨병 초기 증상이 일반적인 노화와 비슷해 발견이 어렵지만, 장내 미생물이 조기 진단 지표가 될 수 있음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RBD 유무에 따른 장내 미생물 차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면 환자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파킨슨병, 장에서 시작?
- 장내미생물로 난치 뇌종양 치료효과↑
- 위장질환 예방치료 장내미생물 기전 발견
- 고령자 항생제 사용 치매와 무관
- 장내미생물 회복에는 '낙산균'
- 장내미생물 종류가 자폐증 중증도 좌우
- 인지 예비능 유전자점수 높으면 파킨슨병 진행 지연
- '자율신경 기능저하' 파킨슨병 초기 인지저하 신호
- 무해하다던 바이러스 파킨슨병 유발 가능성
- 파킨슨병 조기 진단·예측 AI 개발
- 자폐증, 성인 이후 파킨슨병 위험 4배
- 파킨슨병 원인 신경염증 조절효소 발견
- 스마트폰으로 파킨슨병환자 '어눌한 발음' 치료
- MRI 조영제 사용 후 파킨슨병 위험↑
- 인공지능으로 파킨슨병 병변 정밀 측정
- 파킨슨병 기원 새 가설 '상부소화관 점막손상'
- 파킨슨병환자 보행장애 원인 규명
- 파킨슨병 뇌검진 한번에 치매 조기예측
- 파킨슨병 뇌심부자극술 후 응급실 '신경문제 · 수술기계' 탓
- 커피많이 마시면 파킨슨병 위험 최대 37% 억제
- GLP-1작동제 '릭수미아' 파킨슨병 억제효과
- 피부생검으로 파킨슨병 간단 예측
- '자다가 욕설' 렘수면장애환자 신경질환 예측법 개발
- 경구 GLP-1약물 파킨슨병에 활용 임상시험 돌입
- "수면 중 치매 예방", 뇌 청소 실시간 관찰
- 장내 유익균으로 방사선치료 부작용 억제
- 하지불안증후군환자 파킨슨병 위험 1.6배
- 한식 먹는 아토피환아 가려움·수면장애 적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