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치매 위험을 높이는 위험인자이며, 체중 감량은 치매 예방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노년기 비만은 치매를 예방한다는 등의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비만 역설'이라는 논쟁 거리가 제시됐다.

이런 가운데 이 논쟁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노년기 체중 감소가 치매 발생의 위험신호라는 것이다.

서울시 보라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준영, 김근유 교수 및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어수 교수는 노년기 체중감소는 비만하지 않은 경우에만 치매의 전조 증상이라고 미국 알츠하이머협회지(Alzheimer's & Dementia)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체중 변화와 치매와의 관계가 비만 여부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 4,600여명. 비만지수(BMI)와 복부비만 별로 1년간 체중 변화와 이후 4년간 치매 발생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비만이 아닌 경우 BMI가 1%씩 감소하면 치매 발생 위험은 3.3%, 알츠하이머병 발생 위험은 4.8% 증가했다. 

반면 비만인 경우 BMI감소와 치매 발생 위험은 무관했다. 다만 허리둘레가 줄면 알츠하이머병 발생률이 감소했다.

이에 대해 김근우 교수는 "후각과 식욕을 담당하는 뇌신경세포의 퇴행으로 체중 감소가 나타나고 그 이후 인지장애 증상이 드러날 수도 있지만 지방 조직량 이외에 신경보호 역할을 하는 근육량도 BMI 지수에 포함되는 만큼 근육량이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BMI보다 지방량이 더 잘 반영되는 허리둘레의 감소가 오히려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감소시킨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근육량을 포함해 적정 체중과 양질의 영양 상태를 유지하고 체중이 아닌 허리둘레를 줄여야 치매를 예방할 수 있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이 연구는 노년기 비만 유무에 따른 BMI 또는 허리둘레의 감소와 치매 발병률의 연관성을 규명한 최초 연구로서, 체중감소는 비만이 아닌 경우에만 치매의 전조증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다만 대상자의 체중감소 원인을 알 수 없는만큼 운동이나 식이조절로 인한 의도적 체중감량이 치매 발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 추구 연구를 통해 규명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