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LDL-C수치가 낮으면 건강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어느 수준이하로 낮을 경우 오히려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진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무조건 낮춰서는 안된다는 이야기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양한모 교수·박찬순 임상강사 및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연구팀은 국가건강검진자(2009년)를 대상으로 LDL-C수치와 심혈관질환의 관련성을 분석해 다학제연구 분야 국제학술지(Journal of Advanced Research)에 발표했다.

LDL-C가 혈관벽에 쌓이면 혈관이 딱딱해지고 좁아지는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을 유발하는 만큼 LDL-C가 낮을수록 좋다는 게 학계의 정설이다. 실제로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은 고지혈증약으로 LDL-C수치를 낮춘다.

다만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 경험이 없는 경우 LDL-C 억제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죽상경화성 심혈관질환 병력이 없고 고지혈증약도 복용하지 않는 성인 240여만명(30~75세). LDL-C 수치 별 심근경색 및 뇌졸중 발생 위험을 9년간 관찰했다.

그 결과, LDL-C 수치가 80~90ml/dL에서 위험이 가장 낮았으며, 그 이하인 경우에는 위험이 증가하는 J커브를 보였다.

원인 파악을 위해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코호트(2,812명)와 국민건강영양조사 코호트(1만 7,056명)를 분석한 결과, LDL-C가 70mg/dL 미만군에서는  70mg/dL~130mg/dL 미만군에 비해 염증지표인 hs-CRP 수치가 높았으며 hs-CRP 수치가 높은 사람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LDL-C가 낮은 군에서 심혈관질환 위험이 증가한 이유는 염증 활성도 상승 때문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고지혈증약 복용군이나 향후 10년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LDL-C 억제요법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고지혈증약 복용과 LDL-C수치 및 심혈관질환 위험 간에는 J커브 현상이 없고 그럴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교란 변수나 통계적 오류가 없는지 다각도로 분석했으며, 특히 LDL-C가 낮고 심혈관질환이 발생하기 쉬운 다른 질환자까지 고려했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연구팀은 "LDL-C가 낮아도 염증 활성도가 높으면 심혈관질환 예방에 좀더 적극적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