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일어나 발을 디딜 때 발뒷꿈치에 통증이 있다면 족저근막염을 의심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홍근 교수는 "나들이나 등산 등 많이 걷는 운동은 뒤꿈치에 무리를 가해 족저근막염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며 "발뒤꿈치에 통증이 있으면 장시간 걷거나 서서는 안된다”고 조언했다.

족저근막은 발가락부터 발뒤꿈치뼈까지 이어지는 발바닥에 부착된 단단한 섬유성 조직이다. 족저근막에 미세한 파열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치유를 반복하다가 만성 염증으로 발전해 발바닥 뒤꿈치 통증이 발생되기도 한다.

족저근막염의 진단은 아침 기상시 또는 장시간 앉아 있다가 일어나 발을 지면에 디딜 때 뒤꿈치 통증 증상과 발바닥 내측부 압통 증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간혹 통증이 비전형적으로 발바닥 중간 부분에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이후 질환의 심한 정도는 초음파 영상 촬영으로 확진한다.

치료에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다. 정 교수는 "대부분 보존적 치료로 가능하고 비교적 간단하지만 3~6개월 정도의 치료기간이 소요될 정도로 쉽게 완치되지 않고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며고 말한다.

박 교수에 따르면 족저근막염을 예방하려면 기존 활동량을 줄이고 뒤꿈치에 실리콘 재질의 패드를 착용해 충격을 줄이여한다. 초기에는 진통소염제를 주로 복용한다.

아울러 수축된 근막을 스트레칭 해주는 아킬레스건 신장술(스트레칭)과 족저근막 신장술(스트레칭)이 중요하다. 아침과 저녁에 시행하는게 효과적이고 한 번에 10분 이상 하는다. 

이러한 스트레칭 대신 밤사이 근막이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야간에 단하지 부목을 착용하는 방법도 있다. 조기에 치유가 되지 않거나 심한 만성 족저근막염 치료에 체외충격파 치료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이런 치료에도 증상이 좋아지지 않을 경우에는 족저근막염 부위에 주사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정 교수는 "보존적 치료를 장기간 실시해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을 경우 드물게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면서 "만성적 염증으로 단단히 굳은 근위 족저근막 부분을 절개 및 절제하는데 수술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어 수술은 매우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