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부터 '의료·요양 등 지역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둔 가운데 뇌졸중환자의 재활 치료 효과는 병원이나 지역사회가 비슷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돌봄통합지원법은 노인·장애인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거주지에서 의료·요양·복지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받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백남종·김원석·장원기 교수 연구팀(충남대병원·양산부산대병원 공동 연구)은 중등도 이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조기지원퇴원'(Early Supported Discharge, ESD)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병원 재활치료에 비해 회복 성적이 비슷하면서 우울증 개선효과는 높다고 재활 분야 국제학술지(Annals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에 발표했다.
한국형 조기지원퇴원은 급성기 치료 후 약 2주 내 퇴원한 환자가, 병원에서 받던 재활치료 일부를 가정과 지역사회로 옮겨 시행하는 모델이다. 환자는 퇴원 직후 4주 동안 재활 전문팀의 방문 치료를 받고, 이후 지역 복지·돌봄 프로그램으로 연계된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조기지원 퇴원군과 병원 중심 재활군을 3개월간 비교한 결과, 기능적 독립성과 운동 능력 등 주요 회복 지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우울증 평가(PHQ-9 점수)는 조기지원퇴원군이 더 많이 호전됐고, 환자 및 보호자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다만 뇌졸중 재활에 대한 지역사회의 지원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생존 환자 1천여명을 대상으로 생활 실태를 조사한 결과, 환자의 94%가 지원 공백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아쉬운 부분은 '복지 혜택 신청을 도와줄 사람이 없음'이 가장 많았고(49%), 이어 '일상생활에 대한 조언 부족'(47%), '낙상'(38%), '재활치료 부족'(33%) 순이었다. 돌봄이 부족할수록 삶의 질(QoL)은 낮았다.
백남종 교수는 "병원 중심 재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한국형 조기지원퇴원 프로그램처럼 지역사회가 재활을 분담하고 협력하면, 뇌졸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환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장기적인 지원 공백을 해소하는 것이 통합돌봄의 핵심"이라며 "지역사회 기반 재활체계 확립이 필수"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