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생성 이미지
AI 생성 이미지

부피가 10㎤ 이상인 대형 뇌전이암도 두개골을 절개하는 외과수술 대신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로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명호성 교수팀은 대형 뇌전이암 진단 후 1차 치료로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환자 93명을 분석한 결과, 외과수술을 대신할 수 있었다고 대한의학회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 발표했다.

대형 뇌전이암은 다른 장기에 발생한 암세포가 뇌로 전이돼 생기는 종양으로, 크기가 클 경우 뇌압 상승 등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신속한 감압 효과를 위해 두개골을 절개하는 개두술이 우선 권장됐지만, 기저질환 등으로 수술이 어려운 환자에게는 새로운 치료 대안이 필요했다.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은 방사선을 소량씩 여러 차례 조사하는 방식으로 9개월 만에 종양 크기를 평균 80%까지 줄였다.

또한 환자의 87.1%에서 신경학적 증상이 안정되거나 개선됐다. 전체 생존 기간은 15.2개월(중앙치)로 기존 개두술 치료 성적(8~18개월)과 유사했다.

특히 종양의 부피는 치료 후 6~9개월 동안 꾸준히 감소했고, 18개월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됐다. 

일부 환자(5.4%)에서는 방사선 독성으로 괴사를 보였지만 입원할 정도로 심각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백선하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형 뇌전이암에서도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이 외과적 절제를 대신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환자의 안전을 지키면서도 효과적인 신경학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