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의 흔한 악성뇌종양인 교모세포종의 재발 원인이 밝혀졌다.
서울대병원, 연세암병원, 한국과학기술원 공동 연구팀은 교모세포종 재발의 근원이 뇌실하지역에 있는 신경줄기세포(NSCs)에서 비롯된다고 암분야 국제학술지(Molecular Cancer)에 발표했다.
교모세포종은 수술로 최대한 제거해도 대부분 재발하며, 주로 수술 부위 근처에서 발생한다. 기존 치료법인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으로는 예방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뇌실하 지역에 있는 신경줄기세포(뇌에서 새로운 신경세포 생성 능력을 가진 세포)가 종양 발생의 근원이라는 기존 연구에 근거해 교모세포종 재발에 미치는 신경줄기세포의 영향을 검토했다.
연구팀은 유전체 분석과 마우스 모델을 이용해 재발암이 단순히 잔여 암조직에서 발생하는 게 아니라 멀리 떨어진 신경줄기세포에서 유래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입증해 보기로 했다.
교모세포종 환자 10명에서 초발암과 재발암의 유전체 계통 관계를 분석한 결과, 60%의 환자에서 재발암이 초발암과 유전적으로 단절되고, 대신 재발암이 뇌실하지역 신경줄기세포와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재발암의 기원을 추적하기 위해 이중형광 마우스 모델을 이용해 신경줄기세포와 종양세포를 다른 형광 단백질로 표지하자 수술 후 신경줄기세포가 재발 부위로 이동해 새로운 종양을 형성하는 과정이 확인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신경줄기세포가 재발암의 기원이자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한 중요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밖에도 이번 연구에서는 신경세포 신호전달 경로인 CXCR4/CXCL12를 차단하면 재발률을 줄이고 생존율을 60~70% 높일 수 있다는 사실도 입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