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생존율이 2년 미만, 5년 생존율은 10%에 불과한 악성 뇌종양인 교모세포종. 마땅한 치료제도 없어 치료 경과가 좋지 않다. 

이런 가운데 인터루킨(IL)-7을 이용한 항암면역치료제가 재발 후 생존기간과 무병 생존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안스데반(제1저자)·전신수(교신저자) 교수팀은 교모세포종 재발환자를 체내에서 장기간 생존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IL-7인 항암면역치료제 rhIL-7-hyFC(GX-17)로 치료한 결과를 종양의학 관련 국제학술지(Cancer Medicine)에 발표했다.

IL-7은 암을 공격하는 가장 중요한 면역세포인 림프구의 증식을 촉진하여 체내의 림프구 수를 올리는데 필수적인 면역 조절 인자이다. 다양한 암종에서 이러한 IL-7을 이용한 항암면역치료가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교모세포종환자 18명. 이들을 rhIL-7-hyFC에 경구용 항암제 테모졸로마이드 병용투여군(10명)과 항암제 베바시주맙 병용투여군(5명), PVC항암제 병용투여군(1명), 그리고 rhIL-7-hyFC 단독투여군(2명)으로 나누어 생존기간을 비교했다.

4주간 관찰한 결과, 모든 환자군에서 림프구가 평균 1,131개(330-2989 범위)에서 4,356개(661-22661 범위)로 상승했다. 반복 투약하는 동안에는 림프구 수가 높게 유지됐다. 재발진단 후 생존기간은 387일이며, 무병생존기간은 231일 이었다. 

안스데반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재발성 교모세포종 환자에서 인터루킨-7을 이용한 첫 임상연구 결과"라면서 "다양한 항암제와 병용투여시 독성없이 림프구를 유의하게 상승시켰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향후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생존율 향상을 살펴볼 계획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