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치료 부작용으로 발생하는 영구탈모는 세포사멸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피부과 권오상 교수와 김진용 연구임상강사는 사람의 모낭을 이식한 동물모델에서 항암치료 후 모낭줄기세포의 손상과 세포사멸이 발견됐다고 네이처 커뮤니켄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화학 항암치료를 받은 암환자의 약 65%는 탈모증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대개는 회복 가능하지만 항암치료 종료 이후 6개월 이상 지나도 회복안될 경우에는 영구탈모증으로 분류된다.

조열모세포를 이식받은 소아암환자의 약 12%에서도 탈모증이 발생하며 항암치료 시기가 빠를수록 위험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항암치료 후 영구탈모가 모낭줄기세포의 고갈 때문인지, 그리고 회복불가능한지를 동물모델로 알아보았다.

면역억제 마우스에 사람의 모낭을 이식한 후 임상환경에서 실제 사용되는 항암치료와 조혈모세포를 이식해 손상을 가했다.

그 결과, 모낭줄기세포에서는 손상된 조직을 회복시키기 위해 반응성 증식(priming mobilization)이 발생하고, DNA손상에 취약한 상태로 전환됐다. 

이후 지속된 항암치료로 비가역적 DNA손상이 축적되면서 모낭성체줄기세포에서는 추가 위험을 막기 위해 성체줄기세포의 세포사멸(large-scale apoptosis)이 대량 발생했다. 

그렇게 되면서 줄기세포의 고갈과 함께 조직재생능력의 비가역적 손실이 발생해 영구탈모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들어 표적 및 면역항암치료제가 개발되고 있지만 여전히 상당수의 암환자들은 방사선치료와 함께 화학적 항암요법을 받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정상조직의 조직손상을 최소화하는 항암치료스케줄의 개발 및 모낭성체줄기세포의 보존치료법, 그리고 새로운 모낭재생 기술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