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 억제 호르몬 아디포넥틴의 높은 수치가 우울증 발생 위험 신호로 확인됐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웅 교수팀은 아디포넥틴 농도와 우울증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아디포넥틴 수치가 높으면 5년 뒤 우울증 발생 위험이 약 11배 증가한다고 임상 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에 발표했다.

아디포넥틴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로 염증을 차단하고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동맥경화, 심장병 등 염증성질환의 위험을 낮춰주는 좋은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지만 우울증의 생체표지자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한 연구가 없다.

교수팀은 연구 대상자로 서울시 및 성남시 거주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기분장애 진단을 받지 않은 633명을 선정했다.

이들을 혈중 아디포넥틴 혈중 수치에 따라 각 211명씩 상, 중, 하 3개군으로 나누었다. 높은 군의 아디포넥틴 수치는 16.34μg/mL, 낮은 군은 3.54μg/mL였다.

5년 후 우울증 발생 위험을 분석한 결과, 혈중수치가 높은 군은 낮은 군에 비해 약 11배 높게 나타났다. 우울증 발생을 막기 위해 항염증물질의 분비가 많아진 탓이다.

교수팀에 따르면 우울증 진단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대면 진료를 통해 평가하는 방법 외에는 없다. 예측은 더 어려워 예방치료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특히 노인 우울증은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기능,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주지만 젊은층보다 증상이 모호해 치료 기회가 적을 수 밖에 없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표적인 항염증 물질인 아디포넥틴을 우울증의 조기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고 밝힌 최초의 결과로, 이를 가지고 전문의의 우울증 진단 및 평가를 보조하고 예방적 치료나 개입을 판단하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가까운 미래에는 다양한 생체표지자를 활용해 간단한 혈액검사만으로도 우울증을 예측하고, 나아가 조기에 예방할 수 있는 시대도 열릴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