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홍근 교수, 박혜령 씨, 박혜령 씨 남편, 박미혜 교수
왼쪽부터 홍근 교수, 박혜령 씨, 박혜령 씨 남편, 박미혜 교수

신생아 담도폐쇄증으로 태어났지만 간이식을 받고 출산까지 한 사례가 화제가 되고 있다.

주인공은 35년 전 지금은 이대목동병원과 통합된 이대동대문병원에서 신생아 담도폐쇄증 진단을 받은 박혜령씨(35세).

그녀는 태어난 지 100일도 지나지 않아 소아외과 최금자 교수로부터 간문부와 소장을 직접 연결해 담도를 만들어 주는 카사이(Kasai) 수술을 받았다.

이후 건강한 청소년기를 보내고 대학 졸업 후 직장생활을 하면서 평범한 일상을 보냈다. 하지만 어느날 간기능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신생아 담도폐쇄증 수술이 잘됐어도 상당수는 간경변증으로 진행되는데 박씨도 이에 해당된 것이다.

급기야 식도 정맥류 출혈 등 합병증이 발생하고 간기능은 계속 나빠져 자신의 간으로는 더 이상 살아갈 수가 없어 간이식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

다행히 친동생으로부터 간을 제공받았다. 수술은 그녀가 담도폐색증 수술을 받았던 이대목동병원의 홍근 교수가 담당했다. 그녀는 담즙이 새는 등의 합병증까지 겪었지만 꿋꿋이 이겨내 결국 간이식 35일만에 퇴원했다.

이후 3개월 만에 담관이 좁아지는 합병증이 발생했다. 경피경간 담관 배액술을 받았지만 담관과 관련한 합병증으로 입원 횟수는 잦아졌다.

하지만 그녀의 완치에 대한 의지와 홍근 교수의 희망과 긍정의 에너지가 더하면서 상태가 호전돼 건강한 일상생활로 복귀하는데 성공했고 결혼까지 했다.

결혼 후 다시 황달과 가려움증이 발생해 경피경간 담도배액술을 다시 받았다. 과거보다 배액관 삽입 기간이 길었지만 다행히 담관이 제자리를 잡아 회복됐다.

이후 합병증이 없고 간기능도 유지되자 그녀는 엄마가 되는 꿈에 도전하기로 했다.

홍근 교수와 산부인과 박미혜 교수의 협진으로 면역억제제 등 복용 중인 약물을 태아에 독성이 제일 적은 것으로 검증된 약으로 바꾸고 약의 용량을 최대한 줄였다.

이식환자는 이식받은 장기의 거부반응을 줄이기 위해 면역억제제를 평생 복용해야 하는 만큼 태아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다.

합병증이 재발하면 약물을 추가로 복용해야 할 뿐만 아니라 조영제를 이용한 검사와 X선 촬영 등 태아에 미치는 위험요인은 많았다. 특히 간이식환자의 임신 사례 경험이 많지 않아 의료진도 긴장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러한 난관을 모두 이겨내고 박씨는 지난 8월 3일 3.5kg의 건강한 딸을 낳았다. 그야말로 기적의 출산이다.

홍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가임기 이식 환자들에게 계획적으로 준비해 임신과 출산을 한 경우는 매우 드문 일"이라면서 "이번 출산의 경험은 이식을 앞두고 있는 여아와 가임기 여성 환자들에게 ‘정상적인 가정’을 이룰 수 있다는 큰 희망을 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