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소아청소년의 비만정책은 많이 나왔지만 정작 실효성은 없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보건의 날을 기념해 개최한 소아청소년 비만관리 대책 마련 정책토론회에서 동국대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는 "지금까지 아이디어가 훌륭한 소아청소년 비만대책은 많이 나왔지만 정작 예산부족이나 사회적 저항 등의 이유로 실효성을 거두지 못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 실시된 국내 소아청노년 비만의 국내 정책 가운데 신호등표시제의 경우 실제 실시율이 3%에 그쳤다.

비만 원인 영양 성분의 함량이 많고 적음을 적색과 황색, 녹색으로 표시하는 방법이 음식의 호불호를 표시하는게 아닌데다 지나치게 단순해 영양학자들의 문제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의무가 아닌 자율 시행이라는 점이 가장 큰 실패 원인이었다.

패스트푸드 대신 과일을 먹이기 위한 정책인 '건강과일바구니사업'의 경우 훌륭한 아이디어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자체에서만 실시하는 등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이유는 예산 때문이다. 

저렴한 가격에 과일이나 건강식품을 먹이도록 바우처를 이용한 '건강매점사업' 역시 청소년의 빈부 차별화라는 분위기와 예산 부족으로 사실상 실패했다.

소아청소년 비만정책의 실패는 국내 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유럽에서 가장 뚱뚱한 나라로 지적받는 헝가리의 경우 비만세를 도입했지만 가격만 올렸을 뿐 효과는 없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루마니아에서는 아동비만을 줄이기 위해 세계에서 처음으로 맥도날드와 KFC의 패드스푸드에 비만세를 부과할 예정이지만, 그나마 먹을 수 있는 저소득층에게는 부담을 주는 셈이다.

프랑스 역시 항공기에 비만 할증료를 부과하기로 했지만 비만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 효과가 있는 만큼 논란이 있다.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문진수 교수는 "소아청소년 비만은 대사증후군 등의 원인으로서 성인비만으로 이어진다"면서 태아나 영유아기부터 소아비만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교수는 우리나라의 소아청소년의 비만율은 급증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가족중심의 접근방법과 학교 교육, 그리고 약물보다는 인지-행동수정요법을 권장했다.

특히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의 경우 성인비만과는 다른 접근방식을 가져야 한다. 비만자라는 인식 때문에 거식증 등의 섭식장애가 발생해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 교수는 또 국가의 비만 정책의 범위를 비만수술까지 넓혀야 한다고도 언급했다.

이처럼 소아청소년의 비만대책은 어렵고 실효성은 낮지만 선진국에서는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서 비만 유병률을 조정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다른 나라 역시 적극적인 개입을 하고 있다.

감소가 아니라 유지하는 수준이지만 선진국 사례를 볼 때 우리나라도 결코 불가능한 것은 아님을 보여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