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PP-4억제제 계열 당뇨약 시타글립틴이 파킨슨병 진행을 억제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정승호 교수, 연세대의대 의생명과학부 김연주 교수,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이필휴 교수 연구팀은 시타글립틴이 장에서 시작되는 파킨슨병 유발 단백질의 축적과 이동을 차단해 파킨슨병 발생과 진행을 억제한다고 소화기·신경면역 분야 국제학술지(Gut)에 발표했다.

파킨슨병은 도파민 신경세포에 알파-시누클레인(α-synuclein) 단백질이 쌓여 발생하는 대표적 퇴행성 뇌질환으로, 그 병리의 시작점이 '장'이라는 장-뇌 축(gut-brain axis) 가설이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파킨슨병 동물모델(로테논 투여 마우스)에 시타글립틴을 병용 투여해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장내 염증 반응과 알파-시누클레인 축적이 크게 줄어들고 도파민 신경세포 소실이 절반가량 감소하며 운동능력도 개선됐다.

또한 장내 미생물 구성이 변화해 유익균은 증가하고 유해균은 감소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면역·염증 조절을 통한 신경보호 기전임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시타글립틴의 작용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GLP-1 수용체를 억제한 상태에서 실험한 결과, 파킨슨병 진행 억제 효과는 그대로 유지됐다. DPP-4 억제제가 GLP-1 호르몬 대사 대신 장내 면역·염증 조절을 통해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정승호 교수는 "이번 연구로 시타글립틴이 장에서 시작되는 파킨슨병의 병리적 연결고리를 차단하는 강력한 근거를 제시했다"며 "염증과 면역 경로 조절이 주요 기전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필휴 교수는 "이번 연구는 기존 당뇨병 약물을 파킨슨병 억제제로 재활용(drug repurposing) 할 가능성을 보여준 중요한 성과"라며 "진행 속도 지연을 넘어 예방 전략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