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심부자극기를 이식한 상태에서도 고집적 초음파 수술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고대안암병원 신경외과 장진우 교수 연구팀은 69세 무도증 남성 환자에 뇌심부자극기를 제거하지 않고도 고집적 초음파 수술에 성공했다고 신경과학 분야 국제학술지(Brain Stimulation)에 발표했다.
고집적 초음파 수술은 무도증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아직까지 수술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다.
체내 이식된 뇌심부자극기의 금속 전극이 MRI(자기공명영상)의 정확도를 떨어뜨리고 초음파 에너지 전달을 방해하기 때문에 전극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초음파 수술 시도가 금기로 여겨져 왔다.
수술 환자는 2년 전 미국 대학병원에서 담창구(globus pallidus)에 뇌심부자극기를 이식했으나 치료 효과를 얻지 못했다.
연구팀은 수술 목표지점의 초음파 에너지 전달 경로를 계산하고, 뇌심부자극기와의 거리를 고려해 초음파 투과 금지 지역을 설정했다.
동시에 초음파 강도와 방향을 조절해 전극 간 간섭을 최소화한 결과, 고집적 초음파 담창시상회로 절제술(Pallidothalamic Tractotomy, PTT)에 성공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 수술은 뇌심부자극기를 제거하는 추가적 수술 없이 비침습적 치료법인 고집적 초음파 수술만으로 치료 효과를 얻은 세계 첫 사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