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등을 치료하는 사측방 경유 추체간 유합수술(Oblique lumbar interbody fusion, OLIF) 후 발생하는 통증을 해결하는 방법이 제시됐다.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노성현 교수는 이 수술 후에 발생하는 허리 통증을 관절 주사가 낮춰주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미국정형외과학회지(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American)에 발표했다.
OLIF는 척추의 후방 구조물, 즉 척추의 근육과 인대를 보존하면서 디스크 협착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치료법이다. 정밀한 미세 절개하는 만큼 수술시 출혈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또 수술과정에서 근육과 신경 손상의 위험이 적고,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낮아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을 가진 고령환자에도 적합하다.
다만 수술 후 추체(척추뼈의 앞부분으로 몸체가 되는 부분)끼리 합쳐지면서 관절 부분이 벌어져 통증이 발생한다.
연구팀은 OLIF이 예정된 61명 환자를 대상으로 인공 디스크 삽입 이후 후방으로 경피적 척추경 나사를 넣기 전 관절에 통증억제제 주사군과 위약 주사군으로 나누어 통증 정도를 비교했다.
그 결과, 통증 주사 시행군에서는 수술 전 통증 점수가 평균 5점(0~10점)에서 수술 1일 차에 평균 3.5점으로 낮아진 반면 대조군은 수술 전 평균 6점에서 5점으로 감소해 차이를 보였다. 평균 입원기간(7.8일 대 9.1일)도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