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되면서 대표적 노인 질환인 뇌졸중의 치료시스템 구축 개선의 시급성이 강조됐다.

대한뇌졸중학회는 14일 '초고령사회에서 뇌졸중 치료시스템 구축을 위한 현황 분석 및 발전 방안 모색' 기자간담회를 열고 뇌졸중 예방과 치료를 위한 대비책을 제시했다.

김태정 학회 홍보이사(서울의대 신경과 교수)에 따르면 2050년 국내 65세 이상 인구는 약 2천만명으로 국민의 절반을 차지하며, 매년 35만명의 신규 뇌졸중 환자 발생이 예상된다.

진료 비용의 급증과 뇌졸중 전문의 부족으로 치료 시스템의 근간의 붕괴가 당연하다는 것이다.

학회에 따르면 현재 전국 상급종합병원 등 수련 병원 뇌졸중 전문의는 209명에 불과하다. 일부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에서는 전문의 1명이 400~500명의 뇌졸중 환자 진료를 담당하는 실정이다.

정부도 이러한 상황을 인지하고 '심뇌혈관질환 문제해결형 진료협력 네트워크 건강보험 시범사업'과 지역필수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수의료 패키지'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왼쪽부터) 차재관 질향산위원장, 배희준 이사장, 이경복 정책이사[사진제공 대한뇌졸중학회]
(왼쪽부터) 차재관 질향산위원장, 배희준 이사장, 이경복 정책이사[사진제공 대한뇌졸중학회]

다만 3가지 선결 조건이 필요하다. 차재관 학회 질향상위원장(동아의대 신경과 교수)은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가운데 전문의 중심의 진료시스템을 구추갛려면 향후 신경과 전공의 증원, 고강도 업무 특성을 고려해 최소한의 보상체계 및 정책 수가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학회는 뇌졸중 치료 예방시스템 개선을 위한 조건으로 뇌졸중 전문의를 현재의 2배인 160명으로 증원, 질병 분류도 응급이 아닌 일반 질병군으로, 수가 개선을 요구했다. 현재 신경과 의사가 뇌졸중 의심 환자를 진료할 경우 진찰료가 없고 24시간 뇌졸중 집중 치료실 전담의 근무 수당은 약 3만원이다.

학회는 또 독거노인 증가에 따른 신속한 증상 확인과 초급성기 치료를 위해 원격진료(telestroke)의 필요성도 제시했다.

배희준 학회 이사장은 "초고령사회에 들어서면 국민 4명 중 1명은 죽을 때까지 한번 이상 뇌졸중을 경험하게 된다"면서 "더 이상 뇌졸중은 먼 미래의 이야기도, 남의 이야기도 아닌 우리가 한번은 겪게 될 문제"라며 뇌졸중 치료의 근본적 해결이 시급함을 강조했다.

한편 정부의 의대정원 확대가 뇌졸중 전문의 증가로 이어진다는 데는 부정적이다. 배 이사장은 "필수의료를 전공하지 않으려고 하는데 억지로 할 수 없다"면서 "환경과 제도까지 함께 개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