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 장질환과 함께 치료약물인 스테로이드가 척추골절 위험을 높이는 위험인자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정성훈 교수(제1저자), 정형외과 이준석 교수(교신저자)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2008~2018년)로 염증장질환과 척추골절 발생 및 중증도의 관련성을 분석해 대한의학회 국제학술지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JKMS)에 발표했다.

위장관에 만성, 재발성 염증이 발생하는 염증장질환은 대표적으로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이 있다. 만성 장염은 복통과 설사, 혈변을 일으키고 철, 아연, 칼슘, 비타민D 등의 흡수를 방해해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특히 치료약물인 스테로이드, 면역조절제가 뼈 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염증 장질환 환자 척추골절의 위험도와 중증도가 일반인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지,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 환자의 양상은 어떻게 다른지는 알려진 바 없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염증 장질환 환자 3만 3,778명. 이들을 일반인(10만 1,265명)과 비교했다. 대상자의 나이와 성별, 동반질환, 척추골절 진단 후 수술 여부, 약물치료 현황 등 다양한 변수를 종합 분석한 결과, 염증장질환군의 척추골절 위험이 높았다.

특히 염증 장질환자 가운데 크론병 환자는 척추골절 발생수와 정도가 높았다. 일반인 대비 척추골절 위험은 크론병 환자에서 59%, 궤양대장염 환자에서는 27% 높았다. 중증 이상의 척추골절 발생 위험 역시 각각 82%와 49% 높았다.

척추골절에 미치는 인자는 크론병, 고령, 여성, 높은 동반질환지수, 스테로이드 장기사용이었다. 스테로이드 사용 기간이 길수록 척추골절 발생률은 높았다.

이준석 교수는 "환자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척추골절의 원인은 노화와 폐경에 따른 골다공증이지만 만성질환이나 약물치료로 인한 2차 골다공증도 있다"면서 "염증 장질환의 만성화와 특정 약물의 장기 사용으로 인한 척추골절 현황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