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관상동맥증후군에 대한 항혈소판를 고용량에서 낮춰가는 단계적 감량요법이 표준요법과 비슷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박경우·강지훈 교수팀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에 대한 항혈소판요법을 연구한 4건의 대규모 임상시험의 데이터로 2가지 요법을 비교해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rt Journal)에 발표했다.

급성 관상동맥증후군은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근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주요 치료법은 스텐트를 삽입해 좁아진 관상동맥을 넓히고, 재발 방지를 위해 최대 1년 이내에 항혈소판제를 투여해야 한다.

다만 항혈소판제는 출혈이라는 부작용을 동반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현재 표준요법은 이중 항혈소판제 사용이지만 강력한 약제가 들어있어 부작용을 더욱 고려해야 했다. 

최근에는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단계적 감량요법이 제안됐다. 단계적 감량요법이란 시시각각 변하는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재발 위험과 항혈소판제로 인한 출혈 위험을 비교해 출혈 위험이 높으면 항혈소판제 강도를 단계적으로 감량하는 방법이다.

이번 대상 연구데이터는 TROPICAL-ACS, POPular Genetics, HOST-REDUCE-POLYTECH-ACS, TALOS-AMI의 환자 1만 133명.

이들을 표준요법군(5,068명)과 단계적 감량요법(5,065명)으로 나누고 발병 후 1년간 심장사망, 심근경색 및 뇌혈관사고 복합 등 임상 허혈 및 출혈 사고 발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1년간 누적 허혈 사고는 표준요법군과 단계적 감량요법군에서 낮았으며(3.0% 대 2.3%). 출혈 사고는 더 낮았다(9.1% 대 6.4%). 결과적으로 단계적 감량요법은 표준요법에 비해 허혈 사고는 24%, 출혈 사고는 30%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셈이다.

나이·당뇨·고혈압·신장기능·흡연 여부 등 변수를 조정해 환자를 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단계적 감량요법의 허혈 및 출혈 사고 예방 효과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지훈 교수는 "항혈소판제 투약은 급성 관상동맥증후군 환자들에게 필수적이며 단계적 감량요법으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특히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 환자들은 출혈 위험이 크기 때문에 단계적 감량요법 적용이 더욱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