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이 긴장돼 통증과 함께 신체 일부나 전체가 뒤틀리는 근긴장이상증을 치료할 수 있게 됐다.

KAIST 생명과학과 김대수 교수 연구팀은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수용체 5HT2A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약물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

근긴장이상증은 세계 3대 운동질환의 하나로 꼽힌다. 국내 환자수는 지난 2010년 2만 8천여 명에서 2017년 3만 5천여 명으로 약 25% 증가했다고 KAIST는 전했다.

발병 원인을 몰라 아직까지 효과적인 약물이 없으며, 보툴리눔톡신이나 수술로 신경 신호를 차단하거나 뇌심부전기자극수술이 유일한 방법이다. 하지만 연구팀에 따르면 보톨리눔톡신의 경우 근긴장이상증이 국소적인 경우에만, 그리고 뇌심부전기자극술은 일부 환자에만 적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근긴장이상증이 심해진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동물모델로 유발 과정을 연구한 결과, 스트레스를 받으면 세로토닌 신경이 활성돼 세로토닌 분비량이 늘어나고 5HT2A라는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해 근육을 긴장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김 교수는 "근긴장이상증 뿐 아니라 근육 통증 등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운동 질환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초 융합 AI 원천기술개발 인프라, KAIST G-core 연구사업 및 글로벌특이점 과제의 지원을 받았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