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면 생존율을 최대 3.3배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와 소방청(청장 정문호)은 26일 병원 이송 급성심장정지 사례 의무기록 10년치(2008~2018)를 분석해 발표했다.

분석에 따르면 119구급대로 병원으로 이송된 급성심장정지환자는 2008년 약 2만 2천명에서 3만 539명으로 약 4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인구 10만명 당 심정지 발생률은 44.3명에서 59.5명으로 늘었다. 하지만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은 각각 8.6%와 5.1%로 10년 전 보다 각각 3.4배와 6.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그림. 급성심장정지 생존율 및 뇌기능 회복률 추이(2008~2018)
그림. 급성심장정지 생존율 및 뇌기능 회복률 추이(2008~2018)

또한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건수는 1.9%에서 23.5%로 늘어났으며, 심폐소생술 실시후 생존율과 뇌기능 회복률은 최대 3.3배와 6.2배 높아졌다. 뇌기능 회복률이란 퇴원 당시 혼자 일상생활이 가능할만큼 뇌기능이 회복된 상태를 말한다.

이번 분석에서는 급성심정지환자 발생률은 남성이 64%로 더 많았다. 나이가 많을수록 높았으며 특히 70세 이상이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원인으로는 질병이 70%로 많았으며,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기능 저하가 93%를 차지했다. 심정지 발생 장소는 자택이 45%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도로, 요양기관, 구급차안 순이었다. 발생 상황은 일반활동이 31%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치료 중, 근무 중, 여가활동 중이었다.

이번 분석 결과에 대해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과 정문호 소방청장은  "심폐소생술 실시여부는 환자의 생존율에 즉각적인 영향을 준다"며 지역주민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조했다.

아울러 2020년 국제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이 개정되면서 '한국형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소방청과 함께 표준화된 교육을 더욱 확산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