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골대사학회-건보공단 50세 이상 분석결과 발표
2008~13년 매년 4% 꾸준히 증가, 8년 후엔 1.4배↑
중증 고관절 골절은 2.5배, 남녀 모두 매년 7% 증가 
척추골절 남성환자 1년내 사망률 여성환자의 2.2배

[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최근 6년간 척추골걸 발생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3.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골대사학회와 건강보험공단은 20일 세계골다공증의 날을 맞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2008~2013년)를 분석해 '한국인의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 골절의 발생 및 관리양상'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50세 이상에서 골다공증 골절 진단 환자는 인구 1만명당 2008년 112.9명에서 2013년 140.1명으로 매년 4% 꾸준히 증가했다.

골절 부위는 척추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손목, 고관절, 위팔뼈 순이었다. 70세 이후에는 척추, 80세 이후에서는 고관절 골절 발생률이 급격히 높아졌다.

특히 중증 고관절 골절은 남녀 모두 매년 7% 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여성이 남성의 약 2.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골절은 9%씩 증가하고 여성이 남성의 3.5배나 많았다.

골절 발생률과 달리 발생 후 1년내 사망률은 남성에서 높았다. 척추골절 남성환자는 여성환자의 2배 이상, 고관절의 경우 1.4배 높게 조사됐다.

기대 사망률을 보정한 사망비(SMR)은 고관절 골절 1년 후 일반인구보다 남녀 환자에서 각각 11.9배, 11.2배로 나타나 다른 부위 골절보다 월등히 높았다. 척추골절 1년 후에는 각각 7.76배, 4.7배로 증가해 남성이 1.6배 더 높았다.

외국의 경우 골다공증 골절 발생률은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대한골대사학회는 이같은 양상이 계속되면 2025년에는 우리나라의 고관절 및 척추골절은 지금의 1.4배가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골다공증 골절환자는 꾸준히 늘고 있지만 약물치료율은 여성이 36%, 남성이 16%로 나타났다. 당뇨나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에 비해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치다. 특히 재골절 위험이 높은 골절 환자의 경우는 6개월 내 약물치료율이 전체 41%인데 비해 50대는 14%에 불과했다.

약물처방을 받은 환자도 39%는 6개월내에 중단했으며, 1년 이상 복용하는 경우는 약 24%로 환자의 약물복용 인식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학회와 건보공단은 10월 한달간 전국의 17개 종합병원에서 '건강한 뼈, 건강한 삶'을 주제로 골다공증 무료건강강좌를 진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번 분석 결과를 국제사회에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팩트시트로 만들어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