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후 항생제의 처방률을 지금의 절반으로 줄인다는 국가적 목표가 제시됐다.

정부는 11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가진 제86회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항생제 내성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을 확정했다.

이번 대책에는 항생제의 적정 사용과 내성균 확산 방지, 감시체계 강화와 함께 인식개선과 국제협력 활성화을 담고 있다.

항생제 내성을 국가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이유는 치료제가 없는 신종감염병과 유사한 파급력을 지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사망률 증가, 치료기간 연장, 의료비용 상승 등으로 공중보건에 큰 위협이 될 뿐 아니라 사회·경제 발전 전체에 영향을 준다.

올해 5월 발표된 영국 정부의 보고서는 항생제 내성에 대처하지 못하면 2050년에는 내성균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연간 1천만 명이 사망할 것으로 예측됐다.

현재 국내 인체에 사용하는 항생제는 선진국에 비해 높다. 감기를 비롯한 급성상기도감염의 항생제 처방률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면서도 최근 4년간 처방률은 44~45%를 유지하고 있다. 인체 뿐만 아니라 가축에서도 선진국 대비 월등히 높다.

항생제 내성에 대한 낮은 인식이 높은 처방률의 한 원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010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항생제가 감기에 도움이 된다고 잘못 응답한 비율이 51%, 항생제를 임의로 복용 중단한 경험도 74%로 높게 나타났다.

정부는 복지부를 중심으로 관련 학·협회, 환자·소비자단체, 언론, 관계부처 정책입안자 등 30여 명이 참여하는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협의체를 구성해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