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고혈압, 우울증의 만성질환 치료법이 세계적으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56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오디세이컨소시엄이 다국적 의료 빅데이터 연구를 분석한 결과를 PNAS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 활용된 데이터는 한국, 미국, 영국, 일본 내 11개 기관 2억 5천만 환자의 데이터. 이를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공통 데이터 모델(CDM, common data model)로 변환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에 사용하는 1차 처방 약물은 메트폴민으로 나타났지만 2차 치료에서는 국가마다 다양했다.

당뇨병과 달리 고혈압이나 우울증에서는 1차 치료서부터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당뇨병 환자의 10%, 우울증 환자의 11%, 고혈압환자의 24%는 다른 환자와는 전혀 다른 치료 패턴이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제1저자인 컬럼비아대학 의료정보학과 조지 립색(Goerge Hripsak)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진료지침은 좀 더 일관성 있게 변화하고 있지만 당뇨병과 고혈압, 우울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국가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면서 "이것은 골드 스탠다드로 여겨졌던 무작위 임상시험의 결과만으로는 다양한 인구 집단의 치료법을 모두 제시하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고 말했다.

국내 연구를 이끄는 아주대의대 의료정보학과 박래웅 교수는 "향후 오디세이 컨소시엄에 동참한 의료 기관의 빅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이용하여 의약품과 의료 제품의 안전 감시 및 비교 효과를 연구하고, 타인종과 한국인의 예후 차이와 개인별 맞춤 치료를 위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