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자의 가족은 일반인에 비해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으로 입원할 위험이 크게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더구나 심혈관질환, 당뇨병, 정신질환 가족력을 가진 경우 가족이 자살한 이후에는 진료 횟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김창수 교수는 가천대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조재림 교수, 이화여대 예방의학교실 정상혁 교수, 하버드 의대 브리검여성병원 예방의학과 캐트린 렉스로드(Kathryn Rexrode) 교수와 공동으로 자살 유가족들의 병원 입원비율과 의료기관 이용횟수 조사 결과를 European Heart Journal에 발표했다.

연구 대상자는 40세 이상 성인으로 2002~2003년 가족 중 자살자가 있는 대한민국 가정 4,253명과 자살자가 없는 일반가정 9,467명.

가족의 자살 전 1년과 자살 후 1년간의 의료기관 이용 행태를 분석한 결과, 자살 유가족이 일반 가족 구성원에 비해 새로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으로 입원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증상은 특히 과거 1년간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 정신과질환으로 병의원 방문을 한 적이 없는 군에서 뚜렷했다.

자살 유가족의 입원율은 일반 가족에 비해 심혈관질환의 경우 남자에서 1.34배, 여자에서 1.24배, 당뇨병의 경우 남자에서 2.24배, 여자에서 1.79배로 높았다[].

표. 과거력이 없는 자살 유가족의 가족 자살에 따른 질환 위험비 ▲ (나이, 거주지역, 사회경제적 상태 보정)

의료기관 행태 분석에서도 과거력이 없는 군에서는 가족의 자살 1년 전 보다 자살 이후 1년간의 병의원 진료 횟수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일반 가족보다 병의원 진료 횟수(의료이용도)는 크게 낮았다.

특히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 정신질환 과거력이 있는 대상군에서는 가족 자살 이후 오히려 병의원 진료 횟수가 줄어들었다.

김 교수는 "자살이라는 사회 문제를 놓고 볼 때, 자살 자체의 예방뿐만 아니라 자살 이후의 유가족 구성원에 대한 사후 관리도 중요하다"면서 "정신건강 측면만 아니라 심혈관 및 대사건강 또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