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으로 당뇨병환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당뇨병 신약도 속속 개발되면서 치료제는 많지만 여전히 혈당 관리는 숙제거리다. 약을 먹어도 관리가 안되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는 낮은 복약 순응도와 생활습관을 개선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의료관계자의 지속적인 지도 관찰을 통해 환자에게 경각심을 알려주는게 유일한 해결책이지만, 이에 따른 지원 대책은 부실하다.

대한당뇨병학회가 16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한 국제당뇨병학회(ICDM)에서 당뇨병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의료관계자의 행위수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태선[사진] 학회 법제보험이사는 "현재 종합병원에서 하는 당뇨환자 관리는 의료관계자가 정식으로 하는게 아니라 그냥 병원 이미지 개선 차원의 서비스 개념"이라면서 "1차 의료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서는 당뇨환자의 관리를 위해서는 교육자, 간호사 등 팀원이 구성돼야 하는 만큼 재정적 지원이 절대적"이라고 설명했다.

박 이사는 "만성질환자들에게 대형병원에 가지 않도록 만성질환관리제를 도입했지만 1차 의료의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안된다"면서 실질적인 해법을 요구했다.

당뇨병학회는 당뇨환자 교육자 훈련과정을 개설하고 1차 의료의에게 프로그램을 받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환자들에게 복약 및 생활습관 지도를 하는데 따른 금전적 보상이 없이는 아무런 소용이 없다.

학회는 혈당체크에 필요한 스트립, 알코올솜 등 당뇨 관리를 위한 필수기기와 함께 관련 검사, 약물병합에 대한 보험급여 확대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당뇨병은 의료행위인 주사와 자가혈당 측정이라는 검사 행위를 환자가 직접한다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인슐린 주사는 지금까지 1형 당뇨병환자에만 한정시켰으나 2형 당뇨병에까지 확대시켜도 환자수가 많지 않은 만큼 국가적 비용부담은 크지 않다.

현재 3개월에 한번 실시하는 당화혈색소 검사의 진단용 인정과 추적검사 간격을 2개월로 단축시켜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한편 이와 관련해 17일에는 보건복지부 관계자와 학회관계자가 참석해 당뇨병 관리를 위해 환자들이 필요로 하는 필수소모품, 행위(검사), 당뇨병 치료제 등의 보험급여화와 요양급여지원 및 보장성 확대 등에 논의를 하는 세션도 열린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