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지방과 만성질환은 비례한다고 알려진 가운데 수천개의 내장지방 신호가운데 조기 당뇨병을 예측할 수 있는 6가지 신호가 규명됐다.

서울의대 내과 최성희, 박경수, 고려대 화학과 이상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황대희 교수팀은 수술 시 얻은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의 내장지방을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정상인과 당뇨병 환자의 내장지방 신호물질의 차이점을 분석한 결과를 Molecular&Cellular Proteomics에 발표했다.

연구 대상은 당뇨병 진단을 받은 지 5년이 넘지 않고, 약을 복용한 적이 없는 조기 환자.

연구팀에 따르면 정상인과 초기 당뇨병 환자의 내장지방이 분비하는 신호물질 가운데 정상인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인 것은 ▲지방세포 크기 조절 물질 ▲유리지방산의 산화 및 연소를 돕는 물질 ▲인슐린 신호전달체계 및 인슐린 작용을 증가 또는 저해하는 물질 등이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는 발생 초기부터 이미 지방조직의 에너지원인 지방산의 산화 기능이 크게 떨어지고, 이는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에 기여하는 물질의 이상을 초래해 지방세포의 크기 조절과 기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연구팀은 추정하고 있다.

연구팀은 "당뇨병 초기에 내장지방에서 분비되는 신호물질의 변화를 확실히 규명한 이번 연구는 당뇨병의 조기 치료 및 질병의 원인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특히 식생활의 서구화로 비만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향후 비만과 당뇨병 치료의 타깃을 발굴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