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고령사회로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대표적인 노인성질환인 전립선비대증과 요실금 등 비뇨기질환 대책이 거의 방치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회의원 회관에서 열린 '비뇨기과의 위기,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서 대한의사협회 노환규 회장은 "비뇨기과가 이렇게 된데는 정부가 모든 권한을 갖고 있으면서 관련된 전문지식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정부를 탓했다.

노 회장은 또 "비뇨기과 전문의 중에서 비뇨기과에 전념하는 전문의가 몇 되느냐"고 반문하고 "현재의 비뇨기과 문제를 전공의 부족으로 돌리지 마라"며 비뇨기과학회의 잘못도 지적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대한비뇨기과학회 수련이사 이상돈 교수는 철저한 수련병원 실태조사를 통해 전공의 정원을 조정하고 근무환경의 개선, 그리고 추가 보조수당 등의 행정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흉부외과, 외과, 산부인과 등은 수가가산, 수가조정, 전공의 수련보조수당을 통해 해결하고 있는 만큼 비뇨기과에도 적용해 달라는 것이다.

이 교수는 "신경외과, 정형외과 등은 전문의 취득 후 수입 보장을 정부가 해 주고 있지만 비뇨기과는 이도 저도 아닌 상태"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대한민국에서만 비뇨기과가 기피과로 취급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비뇨기과학회 보험이사 이영구 교수는 개선방안으로 "비뇨기과 수술 30% 수가 가산과 경도요수술 100% 수가 가산, 전립선비대증치료제, 과민성방광치료제, 발기부전 치료제 등 비뇨기과 전문약물에 대한 처방 우선권, 요류역학검사 판독료 신설"을 제시했다.

한편 동아일보의 이진한 기자는 토론회 초록을 통해 "현재 비뇨기과의 어려운 상황은 비뇨기질환은 비뇨기과 전문의에게 받아야 한다는 인식을 국민에 심어주는게 필요하다"면서 대국민 캠페인을 주문했다.

아울러 과목의 개명 뿐만 아니라 새로운 치료 검사 틀을 만드는 작업도 수가인상이나 우선권 요구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대한의학회 김동익 회장도 "내가 전공한 영상의학과도 한 때 240명 정원에 42명만이 지원해 기피과였던 적이 있었다"면서 "수가 문제 뿐만 아니라 올바른 의료제도를 위한 장기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