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원 전 비타민D가 결핍되면 중환자실 입원 후 패혈증 발병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브리검여성병원 케네스 크리스토퍼(Kenneth Christpher) 교수는 혈중25(OH)D 농도가 낮은 환자는 높은 환자에 비해 중환자실 입원 중 패혈증 발병 위험이 1.5배 높다고 제42회 미국집중치료의학회(SCCM 2013)에서 발표했다.

교수는 지금까지 혈중 25(OH)D 농도가 낮은 환자에서는 응급치료 후 사망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왔다.

중환자실 입원환자 3,386명 대상, 입원 전 비타민D 농도별로 비교

크리스토퍼 교수는 1998~2011년 내과계와 외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가운데 18세 이상이고 비타민D 보충제 고용량 복용자를 제외한 3,386명을 대상으로 입원 전 혈중 25(OH)D 농도와 입원 후 패혈증 발병의 관련성을 검토했다.

대상자의 중환자실 입원 당시 평균 나이는 65.9세, 여성이 56%, 백인이 81%, 혈중 25(OH)D의 평균치는 29.4ng/mL였다.

15ng/mL 미만을 결핍군, 15~29.9ng/mL를 부족군, 30ng/mL 이상을 일반군으로 했다.

패혈증에 대해 국제질병분류 제9판(ICD-9-CM)에서 038.0~038.9,020.0,790.7,117.9,112.5,112.81 중 하나에 해당하는 증상이 중환자실 치료시작 3일 전~시작 7일 이내에 발병한 경우로 정했다.

패혈증 환자 사망의 중요한 예측인자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모델로 일반군 대비 부족군 및 결핍군의 패혈증 발병 오즈비를 구했다.

그 결과, 나이, 성별, 인종, 중환자실 종류 등으로 보정한 오즈비는 부족군에서 1.18로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결핍군에서는 1.51로 유의하게 높았다.

사망률 검토를 위해 중환자실 치료 시작 30일 사망 및 90일 사망, 병원사망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대상자 3,386명 중 병원사망은 12.2%, 30일 사망은 13.3%, 90일 사망은 18.8%였다. 패혈증 발병환자 568명에서는 각각 28.6%, 26.9%,35.5%로 모두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패혈증 발병 환자에 대해 입원 전 혈중 25(OH)D 농도별 사망률을 비교한 결과, 농도가 낮을수록 사망률이 높아지고 30ng/mL이상에 비해 30ng/mL 미만군의 30일 사망 보정 후 오즈비는 1.55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또 패혈증 발병 환자 568명 중 가이드라인 패혈증에 해당되는 444명을 대상으로 입원 전 혈중 25(OH)D 농도별 중증 패혈증 및 패혈성 쇼크 발병 오즈비를 구했다.

그 결과, 혈중 25(OH)D 30ng/mL 이상인 통상군 대비 보정 후 오즈비는 부족군의 경우 1.19로 유의차는 없었지만 결핍군에서는 2.45로 유의하게 높았다.

크리스토퍼 교수는 "현재 미국과 유럽, 호주 다시설에서 개입연구를 실시 중인 만큼 비타민D치가 높아지면 중환자실 환자의 결과가 좋아지는지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