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건복지부와 약사회가 추진 중인 심야응급약국은 일반약을 약국외에 판매를 회피하려는 꼼수라는 지적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7일 성명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2007년 도입했다 실패한 ‘24시간 약국’과 유사한 형태로 역시 실패할 것이라고도 주장했다.

경실련에 따르면 " 24시간 약국은 약사회 스스로도 심야약국의 필요성은 공감하면서도 내부적인 문제로 인해 시·도 약사회의 동의를 얻어내지 못했다. 현재도 이와 동일한 이유로 인하여 심야응급약국에 대한 논의 또한 시작부터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실패할 가능성 이유를 제시했다. 

또한 "2007년 24시간 약국에 대한 추진안의 경우 전국 140곳 24시간 약국을 1차로 선정하여 운영키로 한 반면, 이번 심야응급약국은 전국 50곳에 불과하여 과거에 비해 1/3로 줄어든 초라한 상황으로서 이는 일반약 약국외 판매 요구에 대한 궁여지책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당시 24시간 약국에서 판매된 약은 종합감기약, 해열진통제 및 소화제, 위장약, 숙취해소제 등으로 일반약이며 시간대도 밤10시부터 새벽 4시까지 꾸준히 이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간대에 약국을 찾은 사람들의 70%는 심야나 공휴일에 근처 약국이 문을 닫아 이용하지 못한 적이 있어 이를 위해서는 심야약국, 약국외 판매가 필요하다는 설문조사결과도 있었다.

경실련은 이러한 조사 결과를 근거로 국민의 편의성 및 필요성을 간과하고 약사회의 전시행정용으로 심야응급약국을 시행한다면 그 결과는 명약관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심야응급약국에 대한 지원 비용을 국민에 부담지우지 말고, 도심과 농어촌의 현실적 환경을 감안한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실패할 경우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할 것을 주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