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이하에서 발생하는 '젊은뇌졸중'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치료법도 발전에도 불구하고 치료 경과는 제자리 걸음을 보이고 있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 연구팀(제1저자 인하대병원 김종욱 교수)은 다기관 뇌졸중 코호트 연구(Clinical Research Collaboration for Stroke in Korea, CRCS-K)를 분석해 미국뇌졸중학회지(Stroke)에 발표했다.

젊은 뇌졸중은 18~50세에 발생하며 조기발생 뇌졸중이라고 불린다. 전체 뇌졸중 가운데 10~15%를 차지한다. 젊은 환자들은 뇌졸중 후유장애를 안고 평생을 살아야하기 때문에 기대여명이 짧은 고령에 비해 질병부담이 1.6배 이상 높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12년간(2008~2019년) 전국의 17개 병원에서 모집한 젊은 뇌졸중 환자 7,050명. 이들을 성별 기간 별로 발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젊은 뇌졸중 발생 나이는 12년 간 평균 43.6세에서 42.9세로 낮아졌다. 상반기(2008~2010년)에 비해 하반기(2018~2019년)의 18~30세 여성 비중은 크게 증가했다(6.5%→10.2%). 이 기간 남성은 4.1%에서 5.5%로 늘어나는데 그쳤다.

발생률은 급증했지만 치료 성적은 정체 상태다. 혈전용해제 투여율을 비롯해 혈전제거술 시행률, 스타틴 투여율, 복합항혈전제 사용률 등 최신 진료 지침에서 요구하는 지표는 좋아졌지만 사망률과 기능적 회복률은 제자리 걸음이다. 오히려 1년 내 재발률은 하반기에 증가했다(4.1%→5.5%).

치료 경과가 개선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연구팀은 혈관재개통치료 지표 개선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환자가 전체의 20%에 불과하고, 증상 발견 후 병원 도착까지 8.0시간(2008년 8.4시간)으로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을 꼽았다.

뇌졸중을 유발하는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 원인질환에 대한 인지율과 치료율 정체 및 하락도 원인으로 추정했다. 이밖에 젊은 여성의 흡연율 증가도 거론됐다.

배희준 교수는 "젊어도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뇌졸중 위험 원인 질환이 없는지 파악하고 관리해야 하며,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찾을 수 있도록 응급의료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심장질환으로 인한 색전증 등 일부 뇌졸중에서는 항응고제가 필요한 만큼 관련 연구와 치료 지침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립보건연구원의 지원받았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