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위험을 낮추려면 혈중 바이러스 수치만을 기준으로 B형 간염 치료를 일찍 시작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최원묵 교수팀은 만성 B형간염 성인 환자의 간암 발생을 억제하는 최선의 방법은 바이러스 수치가 매우 높거나 낮을 때 간암 발생 위험이 감소한다고 소화기분야 국제학술지(Gut)에 발표했다.

국내 중년 암 사망률 1위인 간암의 70%는 만성 B형 간염으로 발생한다.  현재 B형간염 치료제는 간암 위험을 절반으로 낮춰주지만, 치료를 시작할 수 있는 건강보험 급여 기준이 간수치가 크게 상승했을 때로 제한돼 있어 국내 환자 중 약 18%만 치료받고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그동안 한계에서는 바이러스 수치와 간암 발생 위험은 비례하며, 간염 치료 후에는 바이러스 수치가 간암 발생 위험과 무관한다고 여겨져왔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국내 5개 대학병원 만성 B형간염 성인 환자 9,709명. 이들을 추적관찰(평균 7.6년)한 결과, 193명에서 간암이 발생한 반면 간염 치료를 받지않은 5,016명 중 322명에서는 간암이 발생했다. 간염 치료가 간암 발생 위험을 약 50% 감소시키는 셈이다.

하지만 치료군과 비치료군 모두 바이러스 수치가 혈액 1mL 당 1백만 단위(6 log10 IU/mL)에서 간암 발생 위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만성B형간염에서 바이러스 수치와 간암 발생 관계(서울아산병원)
만성B형간염에서 바이러스 수치와 간암 발생 관계(서울아산병원)

반면 바이러스 수치가 1백만 단위에서 멀어질수록, 즉 매우 적거나(1만 단위 미만) 매우 많은(1억 단위 이상, ≥8 log10 IU/mL) 경우에 간암 발생 위험이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바이러스 수치가 1억 단위 이상에서 치료를 시작한 환자 보다 1백만 단위에서 치료하지 않은 환자의 간암 발생 위험이 최대 6.1배나 높았다.

연구팀은 이같은 결과에 근거해 "간암 위험도를 낮게 유지하려면 복잡한 B형간염 치료 개시 기준을 혈중 바이러스 수치만을 기준으로 단순화하고 일찍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결론내렸다.

현재 B형간염 치료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려면 바이러스 수치가 최소 2,000 단위 이상이면서 간수치(AST 또는 ALT)가 정상 상한치의 2배(80 IU/L) 이상이어야 한다.

임영석 교수는 "혈중 B형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2,000 IU/mL 이상인 성인 환자에 간수치와 상관없이 간염 치료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급여기준을 개정하면 1년에 약 3천 명, 향후 15년간 약 4만명의 간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