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 면역시스템을 활성시켜 암을 치료하는 면역항암제. 혁신적인 3세대 치료법으로 각광받는 반면 자가면역질환과 유사한 부작용도 유발한다. 심하면 부작용으로 사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바이오 및 뇌공학과 최정균 교수와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박숙련 교수팀은 위험요인과 함께 부작용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캔서(Nature Cancer)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내 9개 병원(고대안암병원,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국립암센터, 서울삼성병원, 분당서울대병원, 고대구로병원,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이 참여한 전향적 코호트를 대상으로 환자의 유전체, 전사체, 혈액 지표 등 폭넓은 범위에서 면역 관련 부작용에 대한 위험요인을 밝혀냈다.

또한 면역항암제 부작용을 예측하는 딥러닝 인공지능모델도 개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다양한 고형암 환자의 임상데이터와 혈액 유전체 데이터에 기반한 만큼 환자의 암종과 상관없이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 사업의 지원을 받았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