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염증을 유발한다는 황색포도구균이 아토피환자의 피부 지질 조성을 바꾸고, 피부 장벽의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안강모·김지현 교수, 미국 내셔널 주이시헬스병원(National Jewish Health) 도널드 륭·엘레나 골레바 교수, 김병의 박사 공동 연구팀은 황색포도구균과 아토피피부염의 관련성을 분석해 유럽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회(European Academy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공식학술지(Allergy)에 발표했다.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피부에는 황색포도알균이 흔해 증상을 악화시키며, 진물과 가려움 등을 유발해 수면 장애 등 삶의 질을 크게 떨어트린다. 황색포도구균은 기존에는 초항원, 다양한 독소물질 및 지질 단백질을 분비해 피부 염증을 악화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

연구 대상자는 아토피피부염 환아 24명과 정상아 16명. 피부지질의 조성과 황색포도구균의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황색포도구균이 검출된 아토피 병변에서는 중증이고, 수분 손실도 높아 피부는 더욱 건조해지고 피부장벽기능은 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토피 병변의 피부 지질 조성은 피부장벽기능 유지에 필요한 긴사슬 지방산의 비율이 적고, 반대로 피부장벽기능 유지에 불리한 짧은사슬 지방산의 비율이 높았다.

이는 항생제 감수성 황색포도구균(MSSA)이 피부각질세포로부터 TNF-알파(TNF-α), 인터루킨-1베타(IL-1β) 등의 사이토카인 생산을 유도해 긴사슬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인 ELOVL3 발현을 억제하기 때문으로 확인됐다.

또한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이 인터루킨-6(IL-6), 인터루킨-33(IL-33) 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유도해 긴사슬 지방산 합성에 관여하는 ELOVL4 발현도 억제한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연구팀은 "아토피피부염이 심할수록 황색포도구균의 군집이 더 커지기 때문에 치료시에는 피부 위생 관리와 함께 미세먼지 등 악화요인 회피, 적절한 항염증 치료로 황색포도상구균, 특히 항생제 내성균의 군집을 막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연구용역사업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시행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