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김성헌 병원전단계위원장, 이경복 정책이사, 배희준 이사장, 차재관 질향상위원장
(왼쪽부터) 김성헌 병원전단계위원장, 이경복 정책이사, 배희준 이사장, 차재관 질향상위원장

"현재의 뇌졸중환자 진료 시스템은 붕괴 수순을 밟을 것입니다."

대한뇌졸중학회 이사장 배희준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는 19일 '응급의료 기본계획 및 필수의료 지원 대책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발언했다.

김태정 학회 홍보이사(서울대의대 신경과)도 "제때 치료받으면 건강한 삶을 회복할 수 있는데도 현재 우리나라의 응급의료기본계획이 수립된지 25년이 지난 현재 그렇지 못한 상황"이라고 부실한 시스템을 지적했다.

원인은 다양하다. 하나는 환자의 진단과 이송, 치료 컨트롤을 담당하는 중앙심뇌혈관센터의 부재다. 뇌졸중센터와 권역센터의 턱없이 부족한 뇌졸중 전문의 수도 문제다.

대한뇌졸중학회 차재관 질향상위원장(동아의대 신경과)은 "5-10년뒤 연간 10만 명의 뇌졸중 환자를 진료해야 하는 뇌졸중 전문의 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올해 신경과전문의 시험합격자 83명 중 5명만 뇌졸중 전임의로 지원을 했다. 현재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4개 중 1개 센터에만 전임의가 근무하고 있고, 전공의 없이 교수가 당직을 서는 대학병원이나 수련병원이 늘고 있다. 올해 58세인 배 이사장도 여전히 당직을 서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문의 진찰료, 관찰료의 대폭 인상이 절실하다. 김 홍보이사에 따르면 뇌졸중 집중치료실 수가는 간호간병통합병실료 대비 최소 1.5배가 필요하다. 그는 "신경과를 지원할 당시 이런 상황이었으면 그만뒀을 것"이라며 심각성을 강조했다.

응급의료센터에 중증보다 경증환자가 더 많은 점도 개선할 점이다. 김성헌 병원전단계위원장(강원의대 신경과)은 "사정이 이러한대도 정부가 내놓는 대책은 근본적인 해결법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배 이사장은 "뇌졸중의 치료 목표는 단순 사망률 감소가 아니라 일상생활 복귀"라면서 "뇌졸중 치료의 목표를 생명연장 뿐 아니라 후유장애를 최소화하는 정책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