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여 신장이식 후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원인이 발견돼 정확한 위험 예측과 함께 면역억제제 사용량도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오은지 교수(공동 교신저자), 신장내과 정병하 교수(공동 교신저자), 부천성모병원 신장내과 민지원 교수(공동 제1저자), 가톨릭관동대 국제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혜영 교수(공동 제1저자) 공동 연구팀은 347명의 신장이식환자와 공여자를 분석해 거부반응 위험인자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분자구조과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에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HLA(인간백혈구항원) 유전자의 에플렛(eplet) 불일치 정도와 거부반응은 비례했다. 에플렛은 항체가 인식하고 결합하는 항원의 특정한 부위인 항원결정기(epitope)의 핵심 서열로서 분석에는 고해상도 HLA 검사를 이용한다.

에플릿 불일치 정도와 면역억제제 타크롤리머스 혈중 약물 농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HLA 유전자의 에플렛 불일치가 높을수록 그리고 타크롤리무스 혈중 농도가 적정하지 않을 경우 거부반응이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거부반응을 예방하려면 타크롤리머스의 혈중 약물농도가 적정하게 유지돼야 하지만 개인 차가 커서 맞춤투여가 절실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