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후성심근증 환자의 심부전 위험을 간편하게 예측하는 방법이 나왔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김형관·이현정 교수팀은 심장초음파로 측정된 좌심방변형률(left atrial strain)이 낮을수록 심부전 발생위험이 높아진다고 미국심장협회의 심혈관영상저널((Circulation Cardiovascular Imaging)에 발표했다.

비후성심근증은 심장 근육이 유전적으로 두꺼워지는 질환이다.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문제가 생겨 혈액을 전신에 공급하지 못해 심부전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운동선수가 급사하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세계에서 2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한다. 국내에서는 희귀질환에 속하지만 점차 유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비후성심근증환자의 심부전 예측에는 지금까지 좌심실 이완 기능을 이용해 왔다. 하짐ㄴ 침습적 심도자술이 필요해 환자 부담이 컸다.

교수팀은 좌심실 이완기능이 저하되면 좌심방 변형률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에 주목했다. 좌심방 변형률은 심장초음파 검사로 측정할 수 있다.

교수팀은 비후성심근증 환자 414명의 심장초음파를 분석해 좌심방 변형률과 좌심실 이완 기능을 측정했다. 그 결과, 좌심방 변형률은 평균 23%로 정상 치(35%) 보다 낮았다.

또한 좌심방 변형률이 낮을수록 좌심실 이완 기능이 떨어지고 심장벽이 두껍고, 심장이 딱딱해지는 섬유화가 진행된 범위도 넓었다.

교수팀은 또 좌심방 변형률로 심부전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지도 알아보았다. 대상자를 심장 이완기능에 따라 △정상(35% 이상) △1등급(24%~35%) △2등급(19%~24%) △3등급(19% 미만)으로 나누고 10년 무사고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정상군에서는 100%로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및 사망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 1등급은 약 92%, 2등급은 84%, 3등급은 68%로 나타나 좌심방 변형률이 낮을수록 심부전 발생률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형관 교수는 "좌심방변형률로 비후성 심근증 환자의 심장 이완기능을 비침습적으로 평가할 수 있게 됐다"며 "이 지표를 활용한다면 침습적인 심도자술 등 추가 검사를 받지 않아도 비교적 쉽게 심부전 예측이 가능해 환자들의 부담을 크게 줄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