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500개 이상을 상급종합병원(3차)이라고 하지만 진료권역과 규모에 따라 다른 유형을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서울대의대 김윤 교수는 29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기자간담회를 열고 "지역 별로 2차와 3차 병원을 함께 담당토록 해 진료권역별 적정 의료전달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상급종합병원의 지정 기준을 현재의 환자 중증도 구성비가 아니라 환자 구성비를 적용해 전국형과 권역형, 그리고 지역형 등으로 나누자고 말했다. 진료권에 따라 지역의 특성 및 의료자원의 공급량과 구조가 크기 다른 만큼 진료권별 적정 의료전달체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전북 익산의 원광대병원은 병상수가 약 700개 이상으로 상급종합병원이지만 내원 환자의 대부분은 인근 지역 주민으로 사실상 지역 병원의 기능을 담당하는 만큼 종합병원 기능까지 함께 담당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건강보험수가를 종별가산율이 아닌 기능가산율로 변경해야 한다. 즉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를 받더라도 종합병원에 해당하는 진료를 받을 경우에는 해당 종별 수가를 적용하는 것이다. 

종별 가산율이란 의료기관 종류 별로 시설과 인력, 장비, 서비스 수준의 차이로 처치, 검사, 치료 등의 비용차이가 발생해 의료기관 종류별로 진료비 등 의료서비스 비용에 일정률을 더한 것이다. 상급종합병원에는 30%를, 종합병원은 25%, 병원은 20%, 의원은 15%를 적용받는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