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는 참, 느릅/느티, 측백, 자작, 오리나무속 순
잡초는 환삼덩굴, 쑥, 돼지풀, 잔디 순
감작률은 자작나무, 오리나무, 환삼덩굴속 순

한국의 알레르기꽃가루 특성이 확인됐다.

인하대병원 환경보건센터(센터장 임대현)은 2010~2018년 국내 알레르기질환 관련 꽃가루의 조사 결과를 국제알레르기학회에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연구결과는 최근 4년간 인천(중구와 부평구)과 서울(영등포구와 성북구)의 꽃가루 비산 상황이다.

연구에 따르면 대기 중 가장 많은 알레르기 유발 나무꽃가루는 참나무속으로 나타났다(17.6%). 이어 느릅/느티나무속(4.7%), 측백나무과(2.1%), 자작나무속(0.6%), 오리나무속(0.7%) 순이었다. 

잡초꽃가루는 환삼덩굴속이 가장 많았으며(10.9%)이어 쑥속(6.3%), 돼지풀속(3.8%), 잔디꽃가루 벼과(1.1%)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기 중 꽃가루의 양과 알레르기증상 환자의 감작률은 비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보건센터의 다른 연구결과에 따르면 자작나무속, 오리나무속, 환삼덩굴속, 쑥속, 삼나무속 꽃가루가 참나무속 꽃가루보다 대기 중 농도는 낮게 측정됐지만 알레르기 감작률은 11.0%, 10.0%, 9.6%, 8.2%, 6.2%로 참나무속 5.7% 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꽃가루 농도가 낮아도 알레르기 감작률이 높으면 심한 알레르기증상을 보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오리나무속 꽃가루는 2월에 출현해 1년 중 가장 먼저 나타났고, 계절 별로는 봄철인 4, 5월과 가을철인 8, 9월에 대기 중 꽃가루 농도가 크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임대현 센터장은 "기후변화로 인해 매년 꽃가루 비산량이 증가하고 있다"며 "이는 국민 개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인 만큼 국가적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