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40대 중반의 강씨는 최근 들어 팔다리에 힘이 쭉 빠지면서 손 저림이 심해진다는 느낌이 들기 시작했다.

처음엔 피곤해서 그런 줄 알고 대수롭지 않게 넘겼지만 점차 단추를 채우거나 글씨를 쓸 때도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했다.

혹시 중풍이 아닐까 라는 생각에 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은 결과 경추척수증이라는 다소 생소한 진단을 받게 됐다.

우리가 중풍이라 부르는 뇌졸중의 초기 증상과 비슷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을 받지 못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은 경추척수증은 치료 시기를 놓치면 사지마비까지 올 수 있어 정확한 진단 및 초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척추신경이 눌리면서 발생

흔히 우리가 등골이라고 하는 경추 척수는 뇌에서 척추로 연결되는 굵은 신경조직으로 목 뼈부터 시작해 척추 뼈까지 연결되면서 뼈 안쪽으로 들어가 있는 신경다발이다.

신경조직이 눌리면서 발생하는 경추척수증은 목 뼈의 퇴행성 변화로 인한 척추관 협착증이 일반적인 원인이지만 경우에 따라 심한 허리디스크도 원인이 된다.

경추척수증은 환자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보통 목 뼈 척추관 협착증에 의한 척수 압박증상을 보이면서 40대 이상부터 많이 나타난다. 최근에는 목 디스크로 인해 20-30대에 발병하기도 하며 여성보다는 주로 남성에서 많이 발병한다.

중추신경인 척수는 뇌에서 뻗어 나와 목 뼈 속을 지나 팔과 다리로 가지를 친다. 하지만 척수가 눌리게 되면 팔과 다리가 저리면서 힘이 빠져 움직임이 불편해진다.

이러한 증상은 서서히 시작해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며 초기엔 옷단추 끼기, 젓가락질, 글쓰기 등 손의 세밀한 움직임이 어려워진다. 동시에 다리 근력도 약해지면서 보행 시 똑바로 걷지 못하고 휘청거리면서 균형이 안 잡히는 증상도 나타난다.

경추척수증 증상이 심해지면 목을 움직이기만 해도 등과 팔에 찌릿찌릿한 통증이 발생하고 방광 기능마저 약해져 소변장애가 생길 수 있다.

뇌졸중 초기 증상과 유사하기 때문에 자칫 오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뇌졸중처럼 편마비, 어지러움, 구음장애, 두통 등 뇌기능 장애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세종한의원(석촌역) 강혜영 원장은 “뇌졸중과의 차이점은 일반인이 알기에 어렵기 때문에 이상 증상을 느낀다면 빠른 시일 내 병원에 내원해 정확한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세우는게 중요하다"고 전했다.

척수는 노화로 인해 신경 허혈 상태가 지속되면 신경기능 상실과 신경세포 괴사로 이어지게 될 수 있으므로 손상된 신경 염증을 가라앉히고 약해진 척추 주위의 근육과 인대를 튼튼하게 만들어 신체 상태를 개선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환자의 체질을 감별에 그에 맞는 탕약을 처방하고 인대와 근육의 긴장을 풀고 경추의 퇴행성 변화를 재생시키면서 뇌로 가는 혈액 순환을 좋게 하면 척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게 강원장의 설명이다.

덧붙여 “오랜 시간 머리를 숙여 스마트폰을 하거나 독서하는 습관은 경추부의 퇴행을 앞당기는 만큼 경추척수증을 예방하기 위해선 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바른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아울러 “스트레칭을 자주해 목과 어깨의 굳은 근육과 인대를 풀어주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기획팀>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