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유방센터 외과 한원식 교수, 유태경 교수 연구팀은 유방암 수술환자 1,700여명을 대상으로 15일, 30일, 45일, 60일로 나눈 후 각 구간별 환자의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을 분석한 결과를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에 발표했다.
수술대기 기간은 조직검사 후 유방암 확진 날짜로부터 수술 날짜까지의 기간이며, 무병생존율은 암세포의 재발 없이 생존해 있는 비율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5.9%, 5년 무병생존률은 91.3%였고, 각 구간별로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의 나이와 암 세포의 병기, 악성도를 고려해도 수술대기 기간과 생존율은 무관했다.
예컨대 같은 유방암 2기 50세 환자라면 수술 대기시간이 15일이든 45일이든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에 차이가 없는 것이다.
유방암은 병기와 각종 검사 등으로, 진단 후 1~2개월 지나서야 수술하는 경우가 흔하다. 다른 의학적인 문제를 동반하거나, 성형외과 협진으로 유방동시재건술을 계획할 경우에는 더 늦어질 수 있다.
한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정확한 확진 날짜 및 재발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것으로 기존의 선입견을 뒤집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또한 "의료진이 좀 더 시간을 갖고 병기 결정과 치료 방침을 결정하고 수술 준비를 할 수 있게 하며, 유방암 환자들도 안심하고 수술을 기다릴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