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진건의 소설 '술권하는 사회'가 1921년에 발표된지 93년째인 지금 우리나라는 이유가 어찌됐든 여전히 술권하는 사회다.

대한간학회가 7일 주최한 '국민 간 건강 증진을 위한 국가 정책 방향은?'(국회의원회관)이라는 토론회에서 인제의대 일산백병원 이준성 교수는 "2008년 현재 한국은 1인당 연간 알코올 소비량이 9.5리터로 세계보건기구 회원 188개 국가 중 15위"라고 지적했다.

특히 음주를 시작하는 나이가 점차 낮아져 중학교 1학년에 음주 경험자가 35.8%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평생 음주율은 54.8%다. 남녀학생 간에 차이도 별로 없다.

이러한 조기 음주는 알코올 간질환의 사회적 부담으로 이어진다. 보건사회연구원의 2009년 조사에 따르면 흡연이 초래하는 비용은 한해 5조 6천여억원인 반면, 음주는 그보다 3배가 넘는 18조 9천여억원에 이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조사에서도 알코올 간질환에 의한 사회적 의료비용은 최근 4년간 연평균 10.3%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이 교수는 "담배는 규제 정책 덕분에 숨어서 피우지만 음주에는 여전히 관대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간학회 김동준 의료정책이사도 "우리나라 음주율은 20~30대에서 가장 높다"면서 "이처럼 젊을 때 술을 많이 마시다 보니 정작 가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40~50대에 알코올 간질환에 걸려 경제 활동은 못하면서 의료비가 가장 많이 들어가 가정에 이중적 부담을 준다"고 지적했다.

김 이사는 한국인이 과음하게 되는 이유 중 하나로 방송매체에 대한 주류광고 허용을 꼽았다.

현재 유럽의 주요 국가와 미국 등에서는 TV와 라디오, 인쇄매체를 통해 주류 광고를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최소한 자발적 규제라는 장치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 처럼 인쇄매체와 라디오에 주류 광고를 허용하는 일본에서도 공영TV에서는 주류 광고를 자발적 규제로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소주 등 증류주만 공영TV와 라디오에서 금지할 뿐 다른 주류에 대해서는 규제하지 않고 있다.

특히 공원이나 의료시설, 학교 등 공공장소내 음주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최소한 자발적 규제를 두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만 없다. 대중교통 내 음주 규제 역시 일본을 비롯한 우리나라에서만 없다.

김 이사는 "주세인상, 술값인상, 판매시간 단축이 알코올 간질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라면서 "나아가 알코올 관련 광고, 스포츠 스폰서, 문화-대학행사 금지, 엄격한 음주단속이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