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등재신약가격이 경제개발기구(OECD) 평균가의 42% 수준이며 이는 제도 시행 이후 더 낮아졌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난 8일 한국보건행정학회 학술대회에서 성균관대 약대 이의경 교수는 '의약품 가격과 환자의 접근성’이라는 주제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선별등재제도 시행 이전에 도입된 신약과 이후 도입된 제품 중 특허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198개 신약의 가격을 OECD 회원국 및 대만을 포함한 30여개 국가와 비교한 것.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등재신약 소매가격은 OECD 평균가의 42%로 나타났다. 각 국가의 물가수준을 고려해도 한국의 약가는 OECD 대비 58%다.

특히, 이번 결과는 선별등재제도 시행 이전에 51%였던 약가에서 선별등재제도 도입 후 9%포인트 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국내의 신약가격이 높다는 주장을 불식시켰다.

또한 한국에 급여 등재된 신약 198개 제품 가운데 OECD 국가에 비해 최고가 품목은 단 하나도 없었지만 최저가 품목은 147개로 전체 비교약품의 7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의 주제 발표 후 가진 토론회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변영식 이사는 "중국이나 중동 등 국내 신약 가격을 참조하는 국가가 더욱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내의 신약 도입이 지연되는 등 환자의 의약품에 대한 접근성이 악화될 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세대 보건행정학과 정형선 교수도 "약가 협상시 OECD 비교가격을 참고 가이드라인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이 재확인됐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